-
-
백 년의 지혜 - 한 세기를 살아온 인생 철학자, 알리스 할머니가 들려주는 희망의 선율
캐롤라인 스토신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인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올해 한국나이로 111세가 된 알리스 할머니.. 할머니의 나이로만도 벌써 놀라운 일인데 나치에 의해 유대인 수용소에서 2년간 억류되는 고초를 겪고 생존하셨다는 것에 경의를 표할 뿐이다. 이 책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중 하나가 바로 할머니가 바로 세계 최고령 홀로코스트 생존자라는 것이다. 우리의 일제강점기라는 아픈 역사를 비추어 볼때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은 남의 일처럼 보여지지 않는탓이기도 하겠다. 이 글을 읽으면서 '사라의 열쇠'라는 책도 생각을 했다. 추방명령을 받고 수용소로 끌려가면서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는것, 그리고 가족들을 잃는것. 할머니도 체코에서 추방명령을 받았고, 테레진이라는 수용소에서 남편과 헤어졌다. 그리고 어린 아들과 살아남게 된다. 아마도 할머니가 살아남을수 있었던 이유는 피아노 때문이 아니었나 싶기도 했다. 아마도 세계의 이목은 신경이 씌였는지 나치도 수용소에서 음악회를 열게했다. 할머니의 연주는 사람들의 마음에 위안을 줬는지도 모르겠다. 다른곳으로 이송되지 않을거라 이야기했던 젊음 독일군인도 아마 할머니의 연주에 감동했을지도 모르겠다. 어려운 극한 상황속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알리스. 그것이 아마도 알리스 할머니의 지혜로운 삶의 바탕이 아니었는지 모르겠다.
<변신>의 작가로 유명한 '프란츠 카프카'의 이야기가 초반에 나오기도 한다. 할머니와 아주 친한 사이라고 한다. 왠지 묘한 느낌이 들었다. 그저 내게는 아주 예전의 유명한 작가였을 뿐인데 그 작가의 생전 이야기를 듣게 된다는 것이 이런느낌이라는 것이 재미있기도 했다. 그야말로 알리스 할머니는 '살아있는 20세기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 싶다.
여전히 그녀는 피아노 연주를 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며 살아가고 있다. 아마도 그녀의 장수의 비결이 아닌가 싶다. 새로운 것을 탐닌하고자하는 자세가 몸의 나의 망각하게 하는 것이 아닌지.. 그건이 정녕 백년의 지혜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