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천재가 된 홍대리 천재가 된 홍대리
이지성.정회일 지음 / 다산라이프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오래전부터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것 같다. 요즘엔 지하철을 타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꺼내든다. 물론 나도 가끔은 스마트폰을 꺼내들고서 기사를 검색하거나 게임을 하기도 하지만 독서를 하는 사람이 예전만큼 많지 않은 것이 조금은 안타깝기도 하다. 그래서 책을 읽는 이를 마주치게 되면 나도 모르게 그 사람은 어떤 책을 읽는지 제목을 훔쳐보기도 한다.

 

이 책은 창의성 없는 홍대리가 동료에 밀려 다른 부서로 밀려나면서 본인의 달라진 모습을 위해 독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시작을 한다. 홍대리의 이야기를 통해서 '1년 365일 자기계발 독서'를 통해 성공자의 사고방식을 갖게 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어렸을때부터 나도 학교를 통학하면서 책을 읽곤 했었는데 그다지 전투적으로 읽지는 않았던 것 같다. 주로 편독을 하는 편이긴 했지만.. 하지만 그때는 잘은 몰랐었는데 아무래도 지금 생각해보면 사고방식이라든지 많은 것에 도움이 된것 같긴하다. 그래서인지 모르지만 요즘엔 나도 가르치는 학생들에게도 독서를 하라고 잔소리를 해댄다. 서술형이 대세인 이때의 아이들에겐 가장 필요로 하지만 현실은 아이들을 그렇게 내버려두지 않는 것이 조금 서글플 뿐이다.

 

독서를 통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사람은 많다. 그 점에서는 동의를 한다. 그리고 고전도 많이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 나도 고전을 읽으려 많이 노력하고 있다. 헌데, 살짝 이 책을 읽으면서 거부감이 하나 생기긴 했다. 꼭 그렇게 모든 사람이 전투적으로 독서를 해야만 하는 것인가? 물론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고프다면 열성적으로 관련책을 읽어야만 하겠지.. 그리고 자기계발서라든지 편독없이 읽으면 되겠지만.. 이렇게 전투적으로 독서에만 몰두하면서 생활하는 것이 과연 필요한지 의문이 들기시작한다. 나도 솔직히 엘리베이터를 잠시 오르내리거나 그다지 위험한 길이 아닌 곳에 책을 읽기도 하는 편이지만 그리고 가끔 까페에 앉아서 책을 보는 편이긴 하지만 독서천재인 홍대리에게는 좀 거부감이 생긴다. 마치 자신의 일과 관계된 부분의 서적을 읽느라 다른 분야를 외면시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물론 1년 365일 매일 한권씩 책을 읽으면서 생활의 변화를 느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기도 했고, 까페에서도 보면 한달에 25권 이상을 읽는 사람을 보기도 했지만서도 누구나에게 가능하지는 않는것 같다. 마치 그런 사람을 보면 책 읽는것이 직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도 한다.

 

물론 책을 읽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그만큼 경험도 중요하다고 본다. 이론만 하는 것은 진정 아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자신의 관심분야라든지 더불어 함께 하는 것이 진정한 독서효과라고 본다. 어쩌면 홍대리도 마케팅 일을 하고 있었고, 그 분야의 일을 열심히 독서했기에 성공하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나도 내가 일하는 분야의 책을 좀 더 찾아 읽기로 했다. 과학이란 항상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서 고전보다는 신기술을 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에 편독을 줄이면서 내 직업에 도움이 되면서 딸아이의 교육에도 도움을 얻을수 있는 분야에 관련 서적을 읽어보려 한다. 물론 1년 365일 책을 읽는다는 것은 중요하지만 남에게 보여지는 슈퍼리더보다는 나의 내실을 내 삶에 맞추는 슈퍼리더가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