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요 엄마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을 보자마자 끌렸다. 왜 "엄마"라는 단어를 보면 마음이 끌리는 것 같다. 내가 나이가 들어가고 엄마가 자꾸 약해져 가는 모습을 보니 그런 느낌이 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예전 신경숙 작가의 < 엄마를 부탁해 >를 읽었을 때 감정이 생각이 났다. 그저 내이야기 같아서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던 그런 기억...

 

"잘가요, 엄마"는 주인공인 내가 엄마의 유골을 뿌리면서 하는 말이다.

잘가요, 엄마. 안개처럼 씨앗처럼....

결혼식을 하지는 않았지만 두명의 남편을 맞이했던 어머니... 그래서 배다른 동생을 갖게 했던 어머니...그런 탓에 '나'는 어려서부터 고향을 떠나와 객지 생활을 했었다. '나'는 그것을 엄마 탓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아우는 그런탓에 같은 엄마이지만 온전히 배다른 형에게 엄마를 빼앗겼다고 생각을 한다. 아우가 곁에서 모시지만 늘 엄마에게는 '형'밖에 없었다고.... '나'는 지인에게 알리지도 않고 그렇게 고향땅에 내려가서 병원비와 장례비를 대는 것으로 아들의 노릇을 다하는듯 그렇게 성의없이 어머니의 장례를 진행하고선 곧바로 서울로 올라오려 했지만...

 

아우와 고향 곳곳을 돌아다니며 옛추억을 더듬어본다. 아우에게 들은 이야기, 자신이 옛이야기를 생각해보면서 너무나도 가난했기에 그런 상황을 만들어준 자식들에게 너무나도 미안스러워 끝없이 희생만을 했던 엄마의 삶을 느끼게 된다.

 

예전에 엄마의 나이가 몇살인지 가늠했을때의 그때의 엄마 나이가 되고부터, 그리고 이제는 엄마의 보호자가 되는 입장으로 바뀌고 나서 왠지 모르게 더 애틋해지는 "엄마".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라는 것이 나도 과연 주인공과 같았을때 엄마에게 미처 미안하다 말할수 있는 후회를 만들어내지는 않았는지.. 나는 과연 "잘가요, 엄마"하면서 잘 보내드릴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세상에 그렇게 아무런 후회없이 잘보내드릴 자식은 없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