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인 ㅣ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후쿠오카와 사가를 연결하는 263번 국도의 미쓰세 고개에서 한 여자의 시체가 발견된다.
이야기는 그렇게 시작했다. 그 사건에 얽혀있는 피해자와 가해자. 그리고 친구들과 가족들.. 그리고 주변사람들을 통한 이해관계들... 그렇게 이야기가 진행되어 갔다.
게다가 소제목들도 꽤 인상적이었다. '그녀는 누구를 만나고 싶어 했나', '그는 누구를 만나고 싶어 했나', '그녀는 누구를 만났는가','그는 누구를 만났는가','내가 만난 악인'....
과연 여기서 악인은 누구였을까? 시체로 발견된 요시노는 만남 사이트에서 알게 된 몇 사람의 남자들과 관계를 가지며 멋진 생활을 꿈꾼다. 그리고 우연히 만났던 게이고에게 관심을 갖고 있지만 그는 그녀를 바라볼 생각이 없다. 더군다나 자신때문에 죽은줄 알고 도피생활을 했지만 결국에 혐의를 벗자 마치 영웅이 된듯이 우스갯소리로 치부한다. 어렸을때 엄마에게 버림받을뻔 했고, 할머니 할아버지와 살았다. 그래서 유이치는 상대가 누구든간에 자신을 떠나지 않을 여자면 좋았다. 하지만 자신에게 엉뚱한 누명을 씌우겠다고 덤비는 요시노를 죽인다. 그리고 자수하려는 유이치에게 함께 도피행각을 권하는 미쓰요... 그 외에도 여러사람의 입장이 설명되고 있지만 과연 누가 악인일까?
애시당초 이 책을 읽으면서 범인이 유이치라는 것을 알게되면서 그리고 피해자 요시노와 가해자인 유이치의 생활상을 들여다보면서 악인이라는 말은 요시노에게 더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물론 아까운 생명을 잃은 것을 보았을 때 그녀를 그러게 생각하면 안되겠지만 그녀의 생활방식을 전혀 맘에 들지 않았기때문이다. 그래서 무언가 그녀가 유이치를 자극하지 않았겠냐는 것이었다. 유이치의 행동은 정당방위 쪽으로 나 나름대로 굳혀가고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의 유이치의 행동은 믿기지 않았다. 도주의 끝에서 잡히기 직전 그는 그렇게 함께 있으며 사랑을 확인했던 미쓰요에게 했던 행동은 도저히 납득되지 않는 행동이었기 때문이었다. 끝까지 자신을 포기하지 않았던 여인에게 피해자로써 동정을 받게 하고팠던 사랑이었을까..아니면 정말로 악인다운 행동이었을까?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가 작년에 개봉되었고, 꽤 수작이라고 하긴 했지만 내가 책장을 덮으며 나름 내렸던 결론이 예고편을 보면서 조금 흔들리는 점이 있기에 영화는 보지 않으려고 한다.
아직도 좀 어려운것이 악인이라는 기준은 무엇인지.. 과연 이 사건중에 악인은 누구인지... 하는 것이다. 어쩌면 악인이라는 조건은 진상을 자세하게 알지 못하고 무심코 몰아가는 행동들이 아닌가 싶다. "핑계 없는 무덤은 없다"라는 말처럼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을진데... 섣불리 이해하고 함부로 행동들하는 개개인 마음속에 있는 악인의 싹이 문제이지는 않을까.. 누구나 자신속에 악인을 키우고 있는건 아닌지 스스로를 돌아봐야할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