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노사이드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김수영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6월
평점 :
제노사이드(genocide) : 어느 특정한 종족이나 종교적 집단을 완전히 없앨 목적으로 그 구성원을 살해하거나 신체적·정신적 박해 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는 나치스 독일의 유태인 학살을 들 수 있다.
표지는 좀 겁나긴 했다. 분량도 만만치 않은... 그래도 저자인 "다카노 가즈아키"는 다른나라의 제노사이드를 이야기 하면서 자신의 조국인 일본이 한 일을 언급하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유태인 학살과 난징대학살에 관련된 책을 읽어서인지 그런 생각을 갖는 일본인이 있다는 것이 맘에 들었고 그의 책을 읽으려고 했던 것 같다.

우선 이 책을 읽기 전에 그의 데뷔작인 < 13계단 >을 읽었다.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했을만큼 치밀한 구성이 대단했다. 그래서인지 더 믿고 이 책을 볼수가 있었다. 그리고 결과는 정말 대단한 책이라는 것이다.

어쩌면 이 이야기는 이 '하이즈먼 보고서'에서 시작되었을수도 있었고.. 아니면 소설속 이야기가 아닌 앞으로 우리사회에서 아니면 이미 일어났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일수도 있다.
아프리카 콩고의 피그미족에서 놀라운 지적 능력을 가진 '초인류'가 탄생을 했다. 미국은 이 존재가 자국의 안전에 위험요소로 판단하고 제거하려는 작전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초인류'인 아키리는 놀라운 지적 능력으로 최첨단 정보통신과 해킹 기술로 미국에 대항한다. 이 초인류는 자신이 살아남기 위한 방안중 하나로서 "폐포 상피 세포 경화증"의 약을 개발하게 된다. 나도 화학을 전공해서 약간 익숙한 합성과정 이야기를 익숙하게 읽을수 있었는데 정말이지 그 부분에서 저자가 얼마나 철저하게 준비를 하고 이 소설을 썼는지 알수 있을것 같았다.
특히나 이 소설에선 신약을 개발하는 일본인과 한국인 유학생 '이정훈'이 나온다. 외국 작품에서 우리나라것이 거론되면 무지 반가운데 이번에도 역시 그랬다. 특히 이정훈은 '천재'이면서도 의로운 인물로 묘사되고 있어서 더 기뻤다. 국내 언론사와의 한 인터뷰에서 저자는 이정훈의 실제모델은 고 이수현씨라고 밝혔다. 고 이수현씨는 2001년 일본 도쿄의 지하철 선로에 떨어진 일본인 취객을 구하려다 목숨을 잃은 한국인이다.

저자 " 다카노 가즈아키" <동아일보 인터뷰기사중>
왜 우리는 초인류를 두려워 하는 것일까? 아니 그보다도 우리는 인간끼리 서로 죽이고 두려워하면서 살아가는 것일까? 지금도 이 지구상 어디선가 "제노사이드"가 일어나고 있다. 왜 그렇게 우리는 누군가를 학살하면서 조금더 우위에 있고자 하는지 모르겠다. 흔히들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고는 하지만 가장 무지하면서 가장 포악하며 가장 미개한 동물인것만 같다.
“사람은 집단을 이뤄 살아가야 하는데 그 집단들의 충돌은 반드시 일어난다. 인간은 국적이 다르다는 것만으로도 서로 싸우고 미워한다. 비록 국적이 다르지만 이수현 씨처럼 남을 도와줄 수 있는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 < 동아일보 인터뷰 기사중 >
국적은 다르지만 남을 도울수 있는 모습.. 더군다나 그 영감을 준이가 한국인이라는 것에 다시한번 이 소설이 맘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