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카드는 그녀에게
제바스티안 피체크 지음, 권혁준 옮김 / 해냄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딸의 자살로 인한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시도하려던 범죄 심리학자 "이라 자민"
8개월전에 사망한 약혼녀를 데리고 오라는 조건을 내걸고 인질극을 벌인 "얀 마이"
그들은 밀폐된 라디오 방송국에서 인질범과 협상가로 만나게 된다. 전화를 받자마자 "101.5 라디오 방송을 듣고 있어요, 인질 1명을 풀어주세요"라는 구호를 외쳐야만 인질을 살릴수 있다. 만약 다른 말을 하게 되면 한명씩 인질은 죽게된다. 두사람의 이야기는 계속해서 방송을 통해 계속 생중계가 되고 하나둘씩 얀의 약혼녀가 죽지 않았다는 의심이 하나씩 살아나게 되는데...
그녀는 <증인 보호 프로그램>으로 인해 완전히 자신의 신분을 버리고 갑자기 증발해버린 것이다. 외국드라마든지 소설에서 보면 가끔 이 프로그램이 눈에 띄게된다. 내가 아는바가 없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과연 이런 것이 존재할까? 중요한 사건의 결정적 증인이고 그것때문에 생명의 위험이 생기는 것을 우려해 완전히 신분세탁을 통해 다른 삶을 갈아가게 되는것. 우리나라는 너무나도 작기때문에 쉽사리 신분을 세탁하고서 새로운 곳에 가서 살수 없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나라에도 이런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일까?
어찌보면 이 제도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수 있는 아주 중요한 증인에게는 필요한 것일것이다. 그러나 하루아침에 갑자기 자신의 생활영역에서 깨끗이 살아진다는 면에서는 어찌 받아들여야 하나? 얀 역시 하루아침에 약혼녀의 죽음을 전달받았다. 하지만 그 이야기를 전달 받기전에 아무것도 믿지 말라는 약혼녀의 전화를 받게된다. 갑자기 약혼녀를 잃게 되고 직업도 잃게 되어버린 얀의 심정은 또 어떨것인지.. 어쩌면 이 제도는 증인에게는 생명의 위협에서 벗어날수 있는 제도인 한편 모든 자신의 삶의 영역을 포기해야만 하는 '양날의 검'과 같은 제도가 아닐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