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련화
손승휘 지음 / 황금책방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어렸을적부터 항상 그녀는 우리에게 '유관순 언니'였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내가 그녀보다 더 나이가 많아져 버렸다. 이제는 어쩜 계속 유관순 언니라고 부르는게 멋쩍다. 내가 나이가 더 많은탓이리라...

 

어렸을적 독립투사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저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애쓰신 분들 외에는 별다른 감회는 없었던것 같았다. 헌데, 아이가 크면서 역사를 알게 해준다며 박물관을 다니다 보니 내게도 부쩍 와닿는 것이 많았었다. 안중근 의사 박물관에 갔었을 때도 그저 그분의 손가락은 숱한 고문에 의한 것인줄만 알았지 손가락을 끊어 절대로 조국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인줄은 몰랐다. 그때 가슴 한켠에 울컥하는 것을 느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도 마찬가지였다. 관순은 그렇게 특별한 사람이 아니었다. 그저 우리가 주변에서 볼수 있던 그런 17세의 어린 소녀였다. 그런데, 관순에게선 어찌 그런 힘이 나올수 있었을까? 여리디 여렸던 소녀가 그녀는 조국을 위해서가 아니라, 누군가 시켜서가 아니라, 그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것이었다고 말한다. 그런 마음들이 모여 그토록 일본이 말살시키려고 했던 우리 민족정신이 사그라들지 못했던 것이 아닐까?

 

관순이 서대문형무소에서 수감되었던 부분을 읽었다. 3년전인가 딸과 서대문형무소에 간적이 있었다. 소설에서 관순이 서술했던 대못이 거꾸로 박혀 있던 작은 고문상자, 온종일 꼼짝달싹 할수 없던 벽관, 그리고 수용소... 서대문 형무소에서 직접 보았기때문에 그 대목을 읽을때는 더욱더 마음이 아팠던것 같았다.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딸아이는 매우 무서워했다. 그리고 왜 이런 무서운 곳을 그대로 내버려 두느냐구 물었었다. 아픈 역사도 우리가 잊지 말아야할 또 우리의 역사라고 했다. 서대문형무소를 없애버린다면 우리는 아마도 우리의 아픈 기억을 잊을것만 같다. 아픈 역사를 바라보면서 그날의 유관순을 잊지 말아야 되지 않을까? 그들이 그토록 지키고 싶었던 나라였으니까.. 해방이 되고 일본군이 물러나면서 지하감옥을 폐쇄했었다고 들었다. 바로 그 지하감옥이 유관순이 수감생활을 했던 곳이다. 지금은 다시 복원하고 유리를 덮어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볼수 있다. 그 때도 그녀의 숨결을 느낄수 있었는데 소설과 함께 그날을 생각하니 더욱더 마음 한켠이 아련해진다.

 

소설을 다 읽고 생각해보았다. 만약 지금 관순이 처했던 상황이라면 나는 과연 그녀처럼 만세운동을 할수 있었을까? 관순은 어떤 특별난 사람이 아니었다. 그저 지금 어디서나 볼수 있는 평범한 소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대단한 일을 해냈다. 나는 도저히 그러지 못할것 같다. 아마도 난 관순만큼 평범하지도 못한 사람이라서 용기가 없는걸까? 똑같은 상황이 닥친다해도 나는 그녀같을수 없을것같다. 지금의 나보다도 더 어렸던 관순에게 너무나도 부끄럽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