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잉 아이 - Dying Ey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7월
평점 :
완전 대박!
히가시노 게이고는 정말이지 맘에 쏙드는 작가다. 어느하나 실망시키는 작품은 없는것 같다.
물론 나와 코드가 아주 잘맞는 작가이기에 그런지도 모르지... 나도 영 안읽히는 책은 정말이지 지겨워하니까 말이다. 너무나 자주 읽게되면 혼동이 있을까봐 그의 작품을 한동안 안 읽다 순식간에 읽고 싶은 마음에 이 책을 택했는데, 약간 두텁지만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한 여자가 죽었다. 생명이 꺼져가는 순간에도 절실히 살고 싶어하며 또 저주하면서 사고 운전자를 노려보았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그녀의 남편은 1년반이 흐른뒤에 복수를 하기 위해 가해자의 머리를 가격하고 자살을 한다.
그 일로 신스케는 약간의 기억을 잃었다. 사고에 얽힌것만 기억하지 못한다.
왠지 깨끗하지 못한 느낌때문에 사건의 전말을 알고 싶어 나름대로 사건을 추적한다.
하지만 주변사람들도 무언가를 숨기며 거짓말을 는것만 같다.그 가운데 서서히 밝혀지는 진실...
경악스럽기까지 했던 피해자의 저주!
아마 피해를 당하고 죽어가는 사람의 눈빛을 보는 것은 가해자로서 거의 공포에 가까운 것일테다. 여기서는 빙의라는 표현은 쓰지만 빙의보다는 그녀의 공포스럽던 눈빛이 가해자에게 평생의 굴레가 되었기에 평상시로 돌아가지 못하는것이 아닌가 싶다. 물론 가해자를 두둔하는 것은 아니다. 아마 싸이코패스가 아니고서는 가해를 해놓고 편안하게 두발뻗고 자는 이는 없을것이라고 생각된다. 옛말에 이르길 '맞은 놈은 발뻗고 자도, 때린놈은 발뻗고 잘 수 없다는' 말이 진리인것 같다. 아마도 산스케도 잘 기억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발뻗고 자고 싶은 생각에 추적을 했을 것이다. 사건의 정황을 알고 있을때 가질수 있는 죄책감과 사건의 전말을 모르고 갖는 죄책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죄를 은폐하려는 사람은 언젠가 벌을 받겠지만 현실세계에서는 아주 약간의 소수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요즘에도 보면 법이라는 장벽에 막혀 억울해 하는 사람들을 종종본다. 발뻗고 잘수 없는 그런 심리적 고통보다는 잠시라도 가해자로서 손가락질 받는 것이 더 올바른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한다. 세상의 모든 억울한 사람을 생각하면 말이다. 피해자의 인권은 보호해주지 않고 가해자의 인권만 보호해주는 못된 세상. 소설에서마나 통쾌하게 못된것들에게 벌을 내리니 마음 한켠은 조금 위로를 받는것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