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차
미야베 미유키 지음, 박영난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새로나온책은 번역한 사람도 다르고 생략되었던 부분도 추가를 했다하는데.. 예전것을 읽는다고 뭐, 내용이 별달라지지는 않겠지라고 위로한다. 다소 낡은 그리고 꽤 두꺼운 책을 도서관에서 건네받았다. 아마도 영화가 인기있다보니 도서관에서 예약자 수를 초과하는 바람에 책을 구입할까 망설여지기도 했었는데 그래도 한참을 기다려서 이 책을 받게 되었다. 물론 영화를 본터이지만 그래도, 책으로도 읽으면서 뭔가 비워진 부분을 채워나갈수 있었다.
아마도 책의 내용을 그대로 영화에 옮겼더라면 우리는 아마 이선균과 김민희를 그다지 오래 보지 못했을테다. 그만큼 혼마(조성하)형사가 원작에서는 모든 극을 이끌게된다. 주택담보대출도 많은 빚을 떠안게되어 가족 모두가 야반도주를 하게되었던 '신조 교코'. 그녀는 그녀의 부모의 빚때문에 인생 모두가 얼룩지게 된다. 더이상의 빚독촉도 없을터인데 그녀는 자신을 숨기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갈수 있는 신분을 위해 살인을 하고 남의 인생을 빼앗는다. 그렇게 잔혹하게 빼앗은 '세키네 쇼코'의 인생도 그녀가 예전 개인파산을 했다는 과거를 알게되자 거침없이 약혼자도 버리고 증발해버린다. 영화를 보면서도 이대목에서도 의문점을 가졌다. 개인파산 경력이 있다해서 왜 그 삶을 포기해야하는가..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었는데 책을 읽어보면서 나름 이해할수 있을것 같다. 아마 그녀는 개인파산을 하게될때까지 수많은 독촉과 위협을 받았을터이다. 물론 나는 그런것을 한번도 겪어보진 않았지만 겪어봤던 교코는 아마도 두려웠을것이다. 그녀가 원한건 아마도 어떤 오점도 남기지 않았던 그런 인생이었을 것이다.
신용카드와 대출, 사채...이 모든 것들은 현대사회에서 병폐로 자리잡고 만것 같다. 올바로 사용한다면 괜찮겠지만 조금만 삐긋하면 겉잡을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고 만다. 지금 대학을 졸업면 많은 이들이 빚을 안고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나마 취업을 하면 다행이라고나 할까? 많은 사람들이 많은 대학등록금, 고물가때문에 그야말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카드는 아마도 그들의 이 터널같은 인생에 한줄기 빛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빛은 검은 속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혹은 무분별한 소비형태를 가진 이들도 있다. 결국에는 그들은 개인파산을 선택하지만 그들의 개인파산은 결코 곱지 않은 시선을 갖게한다. 과연 개인파산이라는 제도는 왜 만든것일까? 전자의 경우라면 그들이 개인파산이라는 제도를 통해 다시금 회생할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본인의 경제능력상태를 파악하지 못한 이들까지 개인파산이라는 제도를 통해 빚을 탕감해주는 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 아마도 그들은 또다시 똑같은 일을 벌이지 않을까?
화차의 교코는 전자의 경우다. 그래서 그녀의 사정은 안타깝지만 그녀의 범죄는 결코 용서되서는 안되는것이다. 영화와 달리 원작은 열린결말이었다. 그저 그녀가 저지른 죄값을 치르고 정정당당하게 '신조 교코'로서 이 세상을 살아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