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여기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과히 낯설지는 않다. 물론 드라마 '선덕여왕'을 아주 즐겨보기도 했겠지만 '신라를 뒤흔든 12가지 연애스캔들'이라는 책을 읽었던 이유도 있다. 드라마에서는 등장인물들의 관계만 동일하고 내용은 많이 다르지만 '신라를 뒤흔든 12가지 연애스캔들'과는 비슷하게 진행이 되기 때문에 이야기 속의 미실을 느끼기에 아주 도움이 많이 된것 같다.

 

신라는 참 독특한 나라이다. 그다지 신라에 대해 많이 아는 것은 아니지만 그리 말하고 싶다. 우리 역사속 나라들 중에서도 여자에게도 가장 관대했던 나라이기도 했고, 사랑에 대해서도 그다지 죄가 되는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앞서 읽었던 김별아 작가님의 '채홍'에서는 조선 왕실속에서 외면당했던 그래서 동성애를 택할수 밖에 없었던(적어도 그렇게 생각된다.) 순빈 봉씨의 이야기에 비한다면 500~1000년이나 앞섰던 신라의 이야기들은 그야말로 파격적이다. 물론 후궁도 다른 나라에서도 살펴볼수 있지만 '색공지신'으로 여러왕을 섬겼다는 것은 파격적이 아닐까 싶다.

 

이 이야기를 읽을때도 가장 혼란스러웠던 것은 그런 가계도였다. 복잡한 혈연관계때문에 계속해서 관계도를 살펴보며 읽어나갈정도로 그들의 혼인과 혈연관계는 정말로 복잡했다. 그런 복잡한 혈연관계를 갖게 되는 것은 아마도 '골품제'라고 하는 독특한 신분제도 때문이 아니었나 싶다. 쉽사리 뛰어넘지 못했던 신분의 벽! 인구수도 그리 많치 않았기에 그리고 또한 성골, 진골의 골품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마도 이런 복잡한 혈연관계를 갖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신분을 유지하기 위한 혈연관계는 마찬가지일듯싶다. 요즘 살짝 언급이 되었던 대기업가의 유산상속 소송에서 보면 재벌들이 서로 얽히고 얽힌 관계라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어쨌든 그런 신라의 '미실'을 만났다. 워낙 드라마에서 배우 고현정이 카리스마있게 연기를 해냈던 인물이라 그리 낯설지 않은 여인이었다. 미실이 풋풋했던 시절 모든 것을 걸고 사랑했던 '사다함'과의 예기치 못했던 이별의 아픔을 겪으면서 그녀는 세상의 사랑이라는 것은 믿지 못하고 권력이라는 것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만 같다. 아니면 그녀에겐 어쩔수 없었던 '색을 제공하는 가문'의 대를 이으면서 권세에 눈떴는지도 모르겠다. 젊은 날에는 무엇도 필요없다고 생각들을 한다. 돈도, 권력도 필요없고 그저 사랑하나만 있다면 모든 것을 다 헤쳐나갈수 있다고 그렇게 생각들을 할것인데, 세월이 흐르고 나이를 먹고보니 세상과 타협을 하며 살아가는 나를 보게 된다. 사랑도 좋지만 지금은 돈이나 권력을 못내 아쉬워하면서 조금이나마 그것들을 쫓으면 살게된다. 아마도 그녀도 그랬을것이라 본다. 그녀가 세상을 떠난지 1400여년이 흘렀다. 과연 미실 그녀가 이세상에 다시 온다면 그녀는 골품이라는 신분제도도 없는 그리고 '색공지신'의 가문도 없는 세상에서 그녀는 어떤 삶을 살지 곰곰히 생각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