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흉하게 꿈꾸는 덱스터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4
제프 린제이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싸이코패스인 연쇄살인범은 처벌받아야 마땅한 죄인이다.
그럼 그런 연쇄살인범을 죽이는 또 다른 연쇄살인범은 처벌해야하는 죄인인가? 아니면 정의를 실현하는 의인(義人)인가?
참 고민스러운 질문이 아닌가 싶다. 분명 사람을 죽임에 있어서는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하는 죄인이겠지만 그 죽임의 대상이 잔혹한 살인마라면 가령, 의도적으로 환자들에게 약물을 과다사용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간호사, 또는 어린이들을 무자비하게 살해한 성직자라는 이름의 신부를 살해하는거라면 우리는 그를 어떻게 해야할까? 사형을 시켜달라고 해야하나? 아니면 이시대의 악을 제거해준 사람이니 선처를 해달라고 해야하는건지... 아마도 후자가 더 맞을것 같다. 그리고 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아마도 무기징역쯤으로 감형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덱스터'군을 만나고 읽어나가면서 내내 이런 생각을 했다. 수사관은 아니지만 그래도 엄연하게 경찰서에서 근무하는 혈흔분석가인 덱스터 모건은 동시에 연쇄살인범을 죽이는 또다른 연쇄살인범이었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 사회를 보면 아주 큰 죄를 지었어도 음주 상태여서 제정신이 아니었다는 이유로, 일명 '심신 미약 상태(?)', 뭐 그렇게 기억하고 있는데 어쨌든 그런 이유로 솜방망이 처벌을 받는게 허다해서 정말이지 분통을 터뜨릴때가 많다. 그럴땐 정말 '덱스터'군이 필요로 한것 같다. 우리네 법은 인권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살아남은 범인에게 모자를 씌우고, 마스크를 해주는 것으로 너무나도 살아남은 자인 범인만을 보호하는것 같다. 사망한 피해자의 인권은 그리고 가족을 잃은 유족들의 아픔에는 그다지 배려를 하지 않는것 같다. 뭐 간혹 얼굴을 공개하는 경우가 있기도 했지만 피해자의 아픔을 그리고 사회가 안전하다고 여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것만 같다. 정말로 안타깝기 그지없다.
또 하나, 많은 생각을 할수 있게끔 해주었던 것은, 덱스터는 그의 기억에 희미하게 남은 어렸을때 겪었던 사건때문에 약간 괴물적인 요소를 가지고있다. 그것을 경찰이었던 양아버지가 발견했고, 사회의 악이 되지 않도록 그를 이끌었다. 그래서 덱스터는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 말고 스스로 살인 충동을 억제하고 흉악한 범죄자에게만 그 성질을 드러낸다. 내가 즐겨보는 CSI에서도 볼수 있었다. 폭력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두사람, 한사람은 자신의 연쇄 살인은 유전적인 것이 원인이지 본인 의도는 아니었다고 피력한다. 또 한사람은 똑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자제하고 범죄학 연구에 힘쓰는 교수이자 CSI 대원(랭스턴 교수)이다. 그 두가지 경우를 보더라도 '어쩔수 없었다', '본의가 아니었다'라는 범죄앞의 변명은 선처를 호소하는 목적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충분히 덱스터나 랭스턴 교수를 통해서 알수 있듯이 스스로 괴물의 모습을 자제하며 얼마든지 자신을 통제할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이유로도 우리는 범죄자에 대한 조금더 강력한 처벌을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죄를 미워해도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라는 말은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죄의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보다 더 강력한 처벌로서 그들을 다스리고 비겁한 변명을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를 억제하면서 남과 더불어 사는 공동사회에 적응하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덱스터'군의 이야기는 이 이야기를 필두로 몇편이 더 있다. 이 글을 다 읽기 전에 뒤로도 몇권이 더 있다는 것을 알았고, 이번 사건의 주동자가 아직 잡히지 않은것으로 보아 다음편에서도 그가 우리 덱스터군을 괴롭히겠다는 생각과 더불어 또 다른 덱스터군의 활약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