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을 훔치다
조완선 지음 / 엘릭시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94년, 낡고 오래된 신문에서 뜻하지 않았던 기사에서 시작된 소설..

서울의 문화재 밀매 시장에서 초조대장경 인쇄본이 은밀하게 유통된다. 초조대장경은 팔만대장경의 큰형뻘인데, 한국의 전설적인 도굴꾼이 일본 안국사에서 초조대장경 인쇄본을 훔쳐와서 그것이 한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이에 일본정부는 한국 도굴꾼을 수사하라고 한국정부를 압박했고, 한국정보는 개인소장품이라는 이유를 들어 일본 정부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결국 2001년 공소 시효가 끝나버렸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바로 이 소설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작가는 밝히고 있다. 약탈한 문화재를 당당하게 우리것이니 수사를 해달라고 요구하는 일본정부!! 그야말로 적반하장격이 아닐수 없다. 비단, 일본의 이야기뿐만은 아니다. 우리가 약했기에 우리의 문화를 많은 곳에 빼앗기지 않았던가.. 그것을 적법한 절차를 거치면서 반환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한것이 너무나도 많음이 속상할 따름이다. 그래서인지 모르지만 이 소설에서는 한국인 도굴꾼 장재석과 일본인 도굴꾼 하야코가 등장하게 된다. 둘은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초조대장경'을 찾아 나서는데 아무래도 재석의 편에 서서 소설을 읽어 나간것 같기도 하다.

 

또한 이 소설에서 '초조대장경'의 인쇄본이 아닌 그 경판을 쫓는 과정을 보면서 초조대장경에 담겨져 있는 그 영험함은 느낄수 있었다. 천년의 세월동안 간직한 조국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이 절절히 담겨져 있는 귀중한 물건들.. 그리고 임진왜란 당시 일어났던 승병들의 이야기도 얽히면서 왜 이민족이 우리나라를 침범하면서 대장경을 불태우려했는지 짐작할수 있다. 아마도 그들은 그 보물들을 통해서 우리가 하나로 단결하는 것을 두려워했을것이 분명하다.

 

결국 아무에게도 허락하지 않았던 초조대장경이 편안한 안식처를 찾기를 바라는 맘으로 이야기를 마무리했다.

아마도 우리가 흔히 방문했던 이 땅의 수많은 사찰에는 우리가 모르는 비밀들이 많이 숨겨져 있을것이다. 화마를 피하기 위해서 경회루 앞 연못에서 발견된 용처럼 우리나라의 복을 바라는 많은 유물들이 어딘가에 많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후손들의 영원한 안녕을 바랬던 우리 조상들의 위대함이 또 한번 맘으로 느낄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