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품은 달 1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리뷰에 올랐던 글에서 유심히 보다가 인터넷 기사에서 '해품달'이라는 드라마 이야기를 보았다. 혹시 그 소설이 그 드라마... 했더니 예상대로 지금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의 원작소설이다. 아마도 2005년(시공사)에 발표된 것을 수정해서 다시 발표한게 아닌가 싶다. 어쨌든, 드라마에서의 아역들의 연기가 대단하다고 하여 볼까도 해봤지만 전에 읽었던 저자의 <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이라든지 <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 >을 미루어 볼때 분명 재미있을꺼라 생각하고 드라마를 보는 것을 포기했다. 책을 보면서 상상하는 그 인물들을 드라마에 캐스팅된 배우들을 보면서 정형화 하고 싶지 않은터이다.

 

오랜 시간 기달렸다가 받은 책은 너무나도 순식간에 이야기가 훌렁훌렁 넘어갔드랬다. 그만큼 재미있어서 좀처럼 책을 놓기가 싫었던 듯했다. 그리고 드라마를 보지 않은 것도 잘한것 같다. '훤'을 맡은 김수현은 내 그가 연기하는 것을 잘 보지 않았기때문에 어떨지 모르겠지만 은은한 난향을 간직한 '연우'는 아무래도 한가인하고는 맞지 않는것 같아서 말이다. 그리고 요즘 인기 있는 드라마이다보니 자주자주 기사를 보긴하는데 드라마에서는 연우가 기억상실증에 걸린다고 하는데, 소설에서는 연우는 기억을 잃치 않았다. 다만, 왜 그녀가 그렇게 세자빈에서 내쳐져야 하는지, 숨겨진 의도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에 섣불리 집으로 돌아가지를 못하고 가족들과의 모든 연을 뒤로 한채 한양을 떠날수밖에 없었다. 그러기에 그녀가 보냈던 8년간의 시간들이 얼마나 그리움과 또 얼마나 많은 눈물로 지새웠을까하는 생각에 마음이 아팠다. 아무것도 기억할수 없어 그저 무병이 들어 가족들이 버린거란 말을 듣는것보다 모든 상활을 기억하는 것이 더 애틋하고 더 절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우와 훤은 한번도 얼굴을 보지 못했다. 그녀의 얼굴을 기억하는 건 훤의 형인 양명군 뿐이었다. 그래서 훤이 연우를 그저 무녀라고 생각하고만났을때 그는 몰랐지만 연우는 알기에 그들의 만남이 가엽고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하지만 연우와 훤의 안타까운 사랑보다도 가장 눈시울을 붉히게 만들었던 장면은 연우와 염이 다시 만나는 장면이었다. 염을 갖고 싶은 민화공주의 이기적인 생각에서 비롯되었던 연우의 불행이기에, 염은 자신이 동생을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죄책감에 문을 열지 못했고, 그토록 그리웠던 자신을 사랑했던 오빠를 애타게 부르는 연우의 만남이 가장 맘에 들었고, 가장 슬펐던 장면으로 꼽고 싶다.

 

이 모든 사건의 발달은 어리석은 공주의 이기적인 집착, 그리고 권력에 대한 욕심때문에 빚어진것이다. 그래서 뜻하지 않는 사람들이 억울한 죽음을 당하고 가족을 잃고 슬픔의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어쩜 모든것이 지금보다 자유롭지 못했던 조선시대에서는 아마도 이러한 억울함은 빈번하게 일어났을 것이다. 비단, 왕족과 권력에 국한되지 않았으리라 여겨진다. 그래도 자신만의 이기심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었는지 민화공주가 모든것을 박탈당하고 하루아침에 관비가 되어 보낸 그 3년동안의 시간과 더불어 더 많은 날들을 뉘우치고 살아갔음 좋겟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