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율이 번지는 곳 폴란드 ㅣ In the Blue 4
백승선.변혜정 지음 / 쉼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쇼팽과, 코페르니쿠스 그리고 퀴리부인의 나라 "폴란드"
타민족들에게 끊임없는 침입과 박해를 받았으면서도 단일민족에 단일언어를 사용할 만큼 민족성이 아주 강해 오늘날까지 꿋꿋하게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며 살아온 나라
그래서 그다지 낯설지 않은듯하다..
그리고 이 책은 '번짐여행'시리즈 중의 하나다. 또 다른 책으로는 < 행복이 번지는 곳 크로아티아 >, < 달콤함이 번지는 곳 벨기에 >, < 사랑이 번지는 곳 불가리아 >가 있다. 모두 수채화로 그려놓은듯한 표지가 왠지 읽어 보라고 손짓하는 것 같다. 게다가 사진첩처럼 사진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서 마치 폴란드 이곳저곳을 돌아다니고 있는 느낌이랄까....
그런데 유럽의 건물들을 보면 참 고풍스러운 것이 많다. 실제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여행책자들에서는 일부러 그런 것들만 소개를 하는 것인지.. 아주 옛날부터 그 모습 그대로 서 있었던것만 같다. 언젠가 경복궁에 갔었을때 본 풍경이 기억이 난다. 멋드러진 기와 사이로 솟아오른 빌딩들... 이것이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거구나 라는 짧은 생각을 해본적이 있었는데.. 이제는 우리는 옛건물들을 보려면 일부러 찾아가야 하는것만 같은데 이곳은 그러지 않은 것 같아 마냥 부럽다.(어쩌면 일부러 그런 사진만 실었을수도 있다...)
그리고 아우슈비츠....
이렇게 아픔을 품은 곳의 이름을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이곳이 바로 폴란드에 있었는지는 몰랐다. 참으로 숙연해지지 않을수 없었다. 아우슈비츠에 대해서 읽으면서 왜 난 우리 '서대문 형무소'가 생각이 났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서대문 형무소도 아픈 우리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기때문이 아닐까... 싶다.... 당시 유관순 열사가 투옥되었다던 지하 감옥을 보면서 느꼈던 그런 아픔이 아마도 아우슈비츠 그곳에 서면 같은 마음이 들지 않을까.. 슬픈 영혼들을 느꼈는지 딸아이는 서대문 형무소에 다녀온뒤로 한참을 무섭다고 했다. 하지만 아픈 우리의 역사이기에 외면하기보다는 항상 잊지 않고 인간들의 욕심이 같은 인간들에게 얼마나 잔인했는지 되새기면서 반성해야 한다고 본다. 아우슈비츠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예전에 보았던 영화 '쉰들러 리스트'처럼... 일부 사람들의 욕심이 불러 일으켰던 잔인한 일들을... 잊지 않고 다시는 그런일들이 없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