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 사르비아 총서 107
안중근 지음 / 범우사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갑작스럽게 '안중근 의사'의 자서전을 집어든건 얼마전 딸아이와 '안중근의사 기념관'을 다녀와서이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한 역사속에 자랑스런 인물중 한분이라고 생각한다. 왼손의 약지를 끊으면서 조국의 독립을 원하셨던 분! 죽어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 싸우라고 당부하신 그분을 생각하면 요즘 우리들은 너무나도 안일하게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하얼빈역에서 일본의 이토히로부미를 암살하시고 그자리에서 체포되고 재판을 받으시면서도 한결같이 그 강직한 마음에는 어떤 변화를 잃치 않으시고 항상 당당하셨다. '당연히 너는 니 할일을 하였으니, 항소하여 구차하게 목숨을 이어가지 말고 떳떳하게 죽으라'하신 그 어머니의 심정은 또 어떠했을까 싶기도 하다. 그토록 글을 못쓰게, 창씨개명을 통해서도 일본인을 만들려고 했던 그들은 이런 독립투사들이 우리에게 있기에 결국에는 우리를 그들의 온전한 식민지로 만들지 못했으리라 본다.

 

하지만 지금 우리의 모습을 보면 한없이 당시 독립투사들을 보기가 민망해진다. 그들이 얼마나 자신들을 희생해 가며 지켜내주신 나라란 말인가? 그 위에 우리는 많은 것을 잃어가고 있지 않는지 싶다.

 

현재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오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저 효창원에 가묘만 있을뿐이다. 당시 독립운동의 성지가 될 것을 우려하여 일본인들이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가족들에게 인도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안중근 의사의 유언을 지키지 못하고 어디선가 방치되고 있다. 비록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오고 있지는 못해도 그 영혼만이라도 편안하게 고국에서 편안히 잠드시길 빌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