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책을 읽을때는 누가 썼는지 주의깊게 보지 않았다. 그저 제목이 눈에 띄는 것을 선택해서 봤는데 요즘에는 어떤 책이 맘에 들게 되면 그 저자의 책을 찾아 읽곤 한다. 그리고 이렇게 꼭 리뷰를 쓰니 나의 독서가 조금은 성숙하지 않았나 싶다. 저자는 <완득이>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독자를 끌어들이는 마력이 있는 작가라 할까.. <완득이>를 읽었을 때는 새삼 처음 만나는 문체덕분으로 정신을 홀딱 빼았겨 버렸다. 아니나 다를까 저자는 마해송문학상과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석권하며 2008년 가장 주목해야 할 거물급 신인의 등장을 알렸다고 한다. 또한 저자는 진지한 주제의식을 놓지 않으면서도 흥미진진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필력이 단연 돋보인다고 평가된다.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는 공개입양한 가족이 중심인 소설이다. 하늘이는 기억에는 없었지만 아기였을때 지금 부모에게 공개입양된 아이였다. 부모님은 모두 의사이고 국내 입양단체 홍보대사이기도 하며, 하늘이를 매우 사랑한다. 하지만 하늘이는 '가슴으로 낳았다'라는 말을 제일로 싫어한다. 초등학교 6학년인 하늘이는 어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사춘기에 들어섰기에 고민이 많은게 아닐까 싶다. 우리 나라가 예전부터 너무 혈연주의가 강력했기 때문에 입양을 그다지 탐탁지 않은듯 싶다. 예전에 해외로 입양되는 아이들을 이야기한 다큐를 보고나서 훗날 입양을 생각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나중에 사실을 알았을 때의 충격을 줄이는 방법으로 혈액형부터 여러 가지를 생각했었다. 이제 생각해보니 그건 진정한 의미의 입양이 아닌것 같다. 너무나도 입양하는 부모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그런거랄까.. 여기 하늘이 엄마도 하늘이가 어렸을적 심장수술을 했을때 옆에서 극진히 간호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엄마는 가슴으로 낳은 것을 강조하는 엄마!! 그래서 하늘이가 싫었던 것 같다. 아마도 엄마는 하늘이가 겪을 정체성 혼란을 지레짐작하고 먼저 방어막을 친게 아닐까 싶다. 어쩜 입양된 아이보다는 입양을 결심한 부모들에게 더 많은 관심이 가야하지 않은까 싶다. 어쩜 그런면에서는 하늘이 할머니의 자세가 더욱더 바람직해 보인다. 겉으로는 친손녀가 아니기 때문에 막 대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속내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친엄마는 뻐꾸기마냥 넘의 둥지에 새끼 놔두고 없어지고, 양엄마는 해마마냥 애비헌티 척 앵겨 주고 나몰라라 허니, 하늘이 쟈가, 뻐꾸기 새끼여, 해마 새끼여?"(p.93) 겉으로는 가스나 가스나 하면서도 속으로는 뻐꾸기 새끼가 될까, 해마 새끼가 될까 내심 걱정을 해주시는 할머니의 말이 무책임한 어른들을 단단히 꾸짖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요즘 세상 정말이지 배가 산으로 가는지 바다로 가는지 모를세상이다. 그런 세상속에 꼭 혈연으로 묶여져 있는 것만이 진정한 가족은 아닌것 같다. 하늘이네 가족은 또 다른 가족을 받아들이려고 한다. 가족이 된다는 것.. 많은 사랑과 인내가 필요로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해주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