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째 나는 이 책을 거꾸로 읽는다. 최근들어 가장 화가나는 대목의 시기의 왕들이 있어 읽는내내 불쾌했다. 나는 아직도 소현세자가 그리운 사람중의 하나라고 자신있게 말하고 싶다. 아마도 이 책을 먼저 읽고 < 조선왕을 말하다 (2) >을 읽었더라면 더 좋았었을걸 그랬다. 물론 이야기가 연결되는 건 아니라 순서를 바꿔가며 읽어도 무방 하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왕들이 뒷편에 있어서 훨씬 더 기분좋게 읽었을꺼 같다.

 

1부 악역을 자처한 두임금(태종, 세조), 아마도 건국초기에 혼란했던 왕권구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왜 굳이 장남에게 먼저 그 선택권이 있어야 하는가 말이다. 유교적 이념에 바탕을 두었다고 하나 첫째라고 모든것을 다 타고난 것도 아니고, 그리고 장자가 아니더라도 탁월할수 있는것이 아닌가? 허나 한나라의 왕위를 계승한다는 것은 절대로 자신의 욕심을 한치도 고려치 않는 일이 될수 없는 것같다. 장자면 장자대로, 공신이면 공신인대로, 자신의 욕심이 많이 지배하지 않는가 싶다. 왕위를 이어받는 당사자들뿐아니라 줄을 선 신하들에게도 권력이란 물리칠수 없는 유혹이리라. 왕자의 난을 2번 일으킨 가운데 왕이 된 태종이나 조선 최고의 카리스마를 가진 세종대왕의 한가지 오점으로 남을 자식들의 권력다툼이라던지... 조카를 끌어내리고 왕위에 오를수 밖에 없었던 세조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이 궁금하다. < 정의공주 >라는 소설에서는 얼핏 어린 단종 주위의 외척들로 인해 세조가 쿠테타를 일으켰다는 이야기를 읽은듯한데 이 책에서는 세조를 '시대를 잘못 읽어 잉태된 국가의 비극'이라고 칭한다.아마도 그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좀더 다른 책에서의 공부가 필요할꺼 같다.

 

2부 신하들에게 쫓겨난 임금들(연산군, 광해군), 임금의 연호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그야말로 쫓겨난 임금들이다. 예전에는 이 두사람은 정말로 왕이 되지 말았어야된다고 생각했고, 나쁜점만을 들어왔었다. 그런데 몇년전부터 광해군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가 배우는 그에 대한 사실들이 만약 거짓이라면... 과연 그가 무슨 잘못을 했길래 왕위에서 쫓겨나는 비운의 군주가 되어야 했는가라는 의물을 갖게 되었다. 오히려 임진왜란때 맥없이 백성을 버리고 망명길에 오른 왕보다 평가절하되어야 할 이유가 있었는가 생각해보았다. 하지만 사관은 언제나 권력은 잡은 이들의 자기 합리화다. 어쩌면 연산군과 광해군 뒤에 숨은 또 다른 진실이 있을거라 여겨진다.

 

3부 전란을 겪은 임금들(선조, 인조), 준비되지 않은 임금으로 인해 우리 민초들이 겪었던 불행은 얼마나 컸을까 한다. 수많았던 징후들에도 불구하고 그저 무능하기만 했었고, 백성을 생각한다기보다 자신의 안전만을 생각했고,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일수 없다. '지배층이 군대에 가지 않는 나라의 피지배층이 전쟁때 종군할 이유가 없음은 물론이다.(p.161)'라는 말은 그 당시뿐 아니라 현재의 그 누구들도 꼭 다시한번 마음에 새겨봐야 한다.

그리고 '삼전도의 치욕'으로 알려진 인조.. 시대착오적 쿠테타. 그가 왕위에 오르지 않았더라면...이라는 생각은 아직도 여전하다. "당초 그의 묘호는 열조(烈祖)였으나 인조(仁祖)로 고쳤다. 신하로서 임금을 내쫓고, 아버지로서 아들과 며느리를 죽이고, 할아버지로서 손자를 죽인 인물에게 쓴 어질 '인'자가 부끄러울 지경이었다.(p.209)"라는 대목은 나도 완벽하게 동감한다. 미래로 나아가려는 조선의 발목을 그의 옹졸함이 잡은것이 분명하다.

 

4부 절반만 성공한 임금들(성종, 영조), 어찌보면 두 임금은 비슷한것 같다. 신하들에 택군에 의해 왕좌에 오른 이들이고 자식에게서 어미를, 손자에게서 아비를 빼앗은 인물들이다. 그로 인해 벌어졌던 일들은 모두 그들이 착오에서 오지 않았나 싶다. 이 두 임금은 자신의 재위 기간에서만 절반만 성공한것이 아니고 후대에서도 절반만 성공한 것이 맞는것 같다. 성종은 연산군대의 피바람을 만들어냈고, 영조는 무엇보다도 보기드문 성군이 될 자질을 타고났을 사도세자를 죽임으로서 정조를 늘 암살의 불안에서 살아가게 했고, 개혁을 해서 새로운 강한 국가로 변모할수 있었던 조선의 미래를 암담하게 만들었다.

 

지나간 역사가 무엇이 중요한지 모르겠다. 나는 앞으로를 살아갈텐데.. 라는 말을 간혹 듣곤 한다. 하지만 조국의 역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과거를 바로 알아야지만 조국이 올바른 길로 나아갈수 있는데 일조를 할수 있고 또 그와 같은 우를 범하지 않을것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