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수 1 - 다가오는 전쟁
김진명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소설을 읽게되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있는것 같다. 첫장을 열고서 마지막 책을 덮을때까지 아무것도 할수 없고 책위에만 시선을 고정시킨다. 나는 과거에 있었고, 책을 덮는 순간 현실로 돌아와 있다. 물론 작가와 독자도 궁합이 맞아야겠지만 김진명의 소설은 적극 추천하고 싶기도 하다. 그의 이야기를 읽으면 몰랐던 역사를 알수도 있고, 내 조국, 대한민국의 역사에 자부심이 생기기도 한다. 항간에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한다 안한다 말들이 많은데 자국의 역사는 자국민에게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 역사를 어떻게 선택할수 있단 말인가? 꼭 정규과정에서 배우지 못하더라도 많은 책을 읽으면서 조국에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생각해 봐야 함은 당연지사라 할수 있겠다.

 

나는 평소 조선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나 조선시대 왕실 이야기를 좋아한다. 마냥 훌륭한줄만 알았던 왕들의 이면을 보는 순간 그당시 상황이 조금만 달라졌다면 우리나라의 현실이 바뀌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에 발을 동동 구르기도 한다. 다른 시대는 아직 잘 관심이 가지 않았다. 하지만 김진명이란 작가 덕분에 새로운 세상을 만났다. 아니, 또 하나의 나의 조국을 만났다.

 

<살수>라는 이 작품은 제목에서 단번에 느끼듯이 고구려 이야기이다. 그리고 을지문덕 장군의 이야기이다.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한없이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했다. 전투병만 113만에 이르는 역사상 최대의 병력이 동원된 중국 수나라의 침공을 그야말로 전멸시킨 을지문덕 장군에 대해서 '과연 그의 후손이라 하는 우리는 얼마나 알고있나?' 라는 것이다. 우리는 그가 언제 태어났는지 또 어떻게 살았는지 또 어떻게 살아갔는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풍전등화같은 조국의 위험앞에서 철두철미한 계략으로 113만의 적군을 물리치지 않았던가.. 아마도 한국전쟁당시 중국의 인해전술에 의해 후퇴하는 우리를 보고 지하에서 을지문덕 장군은 땅을 치고 통곡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저들을 몰살시키거나 아군이 몰살당하는 것뿐이 이 전쟁을 끝낼수 있는 단하나의 방법'이라며 그가 지켜낸 조국, 1400여년전에 그 어느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방법으로 전멸시켜 지켜낸 조국을 뒤로하고 후퇴 할수 밖에 없었던 그 나약한 후손들을 보며 통한의 눈물을 흘렸을 장군, 을지문덕!

 

하지만 전쟁에서만 지켜낸 조국이 전부는 아닌것 같다. 현재도 수많은 방법으로 내 나라를 훔쳐가려는 이들이 많다.

'동북공정', 이는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의 줄임말로 '동북 변경지역의 역사와 현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과제'라는 뜻으로 만주 지역을 무대로 했던 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왜곡하려 한다는 것이다. 당연 만주를 무대로 했던 고구려사, 고조선사, 부여사, 발해사의 우리 역사를 왜곡시키고 있단 것이다. 나는 항상 우리 역사를 왜곡시키고 있던 일본의 만행에만 분노를 느끼고 있었지 만주벌판을 휘잡았을 우리의 오랜 역사를 그들이 침탈하고 있는줄 전혀 모르고 있었다. 이렇게 우리 역사를 왜곡하고 과거사를 빼앗아 가려는 무리들 앞에서 한국사라는 것이 그저 입시과목으로 전락하고 선택되어져 공부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자신의 뿌리를 똑바로 알지 못한다면 '눈뜨고 코 베어간다'라는 말처럼 내 뿌리를 빼앗아 가버리는 도적떼들을 바라보면서 어떠한 대처도 못하고 당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평소 꼭 읽어야할 소설이라는 '삼국지'를 워낙에 큰 대하소설이라 이해가 가지 않는다라는 생각에 꼭 다시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삼국지'라는 소설은 뒤로 미룰테다. 그리고 잘 이해하지 못해서 부끄러워하지도 않을테고 공부하듯 읽지도 않을것이다. 내가 읽어야할 책 순서에서 저 뒤쪽으로 물리칠테다. 지금 내가 필요한 건 반만년의 훌륭한 역사를 가진 내 나라 이야기가 중요하다. 조선시대에만 국한되지 않고 내 뿌리를 찾아봐야 할것 같다. 그리고 내 나라 과거를 건드리는 것(?)들에게 분노할 것이다. 그리고 내 딸에게 올바른 내 나라의 역사를 가르쳐주고 싶다.

 

저자의 소설은 항상 대한민국 대해서 생각하게 해준다. <황태자비 납치 사건>이 그랬고, <천년의 금서>, <몽유도원도>가 그랬고, 그리고 지금 또 읽고 있는 <고구려>가 그렇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의 소설은 하나도 빼놓치 않고 읽고 싶어진다. 그리고 또 읽을 계획이다. 그들이 사랑했던, 그리고 그들이 지켜냈던 신비로운 내 아름다운 내 조국을 위해... 사랑한다. 대한민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