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2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2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람은 한국역사를 알아야 한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우리딸에게도 역사 이야기도 많이 해주고 역사유적지도 많이 가보려 노력한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삼종혈맥의 시대를 연 임금들(효종, 현종, 숙종), 소현세자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아들이 아닌 동생이었던 봉림대군 효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정통성을 세우기 위해 이끌어냈다던 '삼종혈맥'. 하지만 소현세자 일가의 안타까운 사연때문인지 아쉬움이 내게는 아쉬움이 남는 시기이다. 소현세자 그가 왕위에 오를수 있었다면 숙종시대의 절대왕권을 위한 피바람의 폭풍을 피해갈수 있지 않았을까? 조금더 발전되고 조금더 다른 대한민국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이는 조선의 한 역사이지 않을까 싶다.

2부 독살설에 휩싸인 임금들(예종, 경종), 조선의 많은 왕들이 독살되었다. 여기 소개된 두 왕뿐 아니라 저자의 또 다른 책인 < 조선왕 독살 사건 >에서 많은 왕들이 혹은 왕손들이 독살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들의 공통점은 반대세력에 제거되었다는 것이다. 아마도 왕도 그시대의 최고권력자는 아닌가보다... 왕이란 정말로 넓다란 궁에 외로운 존재가 아닌가 싶다.

3부 성공한 임금들(세종, 정조). 세종대왕은 단순히 세종이 아니라 세종대왕이어야 한다. 그래야 어색하지 않을꺼 같다. 그만큼 그는 탁월한 리더쉽과 카리스마를 가진 왕이다. 백성을 사랑했던 왕이고, 신분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했고, 적재적소에 사람을 쓸줄 알았던 그. 대단한 왕이었다. 정조를 생각하면 참 마음이 아픈 연민이 느껴지는 왕이다. 어린나이에 지켜봐야 했던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 평생을 암살 위기에서 살다가 끝끝내는 석연치 않은 죽음을 맞이 했던 그이다. 신도시를 건설하면서도 단 한명의 백성이라도 서운함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를 했던 왕이었다. 세종과 정조 두 사람의 공통점이라면 백성을 사랑했던 맘이 지극했던 것이라고 싶다. 특히나, 정조가 승하하고 난 후 과거로 돌아간 조선이 아쉽다.

4부 나라를 열고 닫은 임금들(태조, 고종), 고종이 이렇게 미울수가...자질 부족한 임금의 오락가락 정치 행보, 망국은 필연이었다.(p.458) 명성황후가 시해당했고, 망국으로 접어든 역사에 선 불운한 왕인줄 알았더니.....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에서 세번째로 긴 44년 동안 왕위에 있었던 고종이 망국 군주가 된 이유를 자질이 부족했던 점, 시대변화를 거부했던 점, 편의적 정치 행태를 반복했던 점을 든다. 어쩜 모든 나라의 마지막은 똑같은 수순을 밟는지 모르겠다.

 

역사라는 것은 객관적인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그래서 실록을 적을때도 왕의 사후에 씌여진다고 알고있다. 허나, 그 후에 씌여진다고 해도 객관성을 유지하기는 힘이 드나보다. 아무래도 집권층의 변명이 필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왕도 물론 사람이기때문에 모든 것에 완벽할수 없지만 그래도 애민사상이 근본에 깔린 왕만이 후세에서도 객관적으로 재조명될때도 성군이라고 칭할수 있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