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 a True Story 어떻게 살인자를 변호할 수 있을까? 1
페르디난 트 폰쉬라크 지음, 김희상 옮김 / 갤리온 / 2010년 11월
평점 :
일시품절


서점에 나들이 갔다가 내 눈의 띄인 책...

가끔 그런 생각을 해봤다. 재판에서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 혹은 누명을 쓴 사람들은 변호사 혹은 국선 변호사를 선임해서 자신의 무죄를 밝힌다. 허나, 아주 명백한 살인을 저지른 사람들... 과연 그 사람들은 변호해주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인가???? 형량을 줄이기위해 가급적 정신이상을 빌어 선처를 비는.... 그런거...하지만 '내가 살인을 했소'라고 인정한 경우에도 그 뒷이야기를 잠시 염두해보면 살인이라는 그 죄는 밉지만 그 상황까지 몰고 갔음직한 상황을 전혀 묵과할수는 없을듯 하다...'그래도 어떻게 살인까지 할수 있어' 라고 반문하는 사람들, '그래도 살인을 하면 안되지'라는 사람들.,.. 그들은 과연 그 극한의 상황까지 달려가본 사람들이 아니어서 그런 말을 할수 있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저자인 페르디난트 폰 쉬라크는 현재 베를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가 소개하는 11가지 이야기는 실제 일어난 이야기이다. 과연 이런일이 일어날수 있을까라는 생각에서부터 어찌보면 그리 놀랍지 않을 평범한 이야기, 하지만 누명을 쓸법한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그는 재판에는 두가지 차원이 얽혀 있다라고 이야기 한다. 첫번째는 '검찰이 제시하는 증거는 유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충분한가'이고 그가 범인이라는게 확정되었다면 '형량을 얼마로 보아야 하는가'가 두번째이다. 전자에서는 도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 두번째에 있어서는 도덕이 끼어 들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이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알아보는 것이라고 한다. 인생에서 어떤 경험을 했으며, 어떤 문제를 갖고 있었는지 살펴야 한다고 그는 말하고 있다.

 

가끔 기삿거리로 떠오르는 부모를 살해하는 혹은 투병하는 자식을 살해하는 '존속살인'이라는 패륜적인 범죄를 만날수 있다. 우선 소식을 접했을 때는 '어떻게 그럴수 있을까?'로 시작해서 '과연 그 방법밖에 없었던 것일까? 그런 극한의 상황으로 몰고 간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사건이 간혹있다. 그래서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라는 말이 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