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 푸른역사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왕조 최고 왕실의 비극이라 일컬어지는 사도세자의 죽음, 그저 어릴때 드라마에서 얼핏 봤던, 이야기로만 듣던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을 떠올리면 그저 그가 울화병때문에 영조의 눈밖에 나서 그렇게 사건이 진행되었는지 알았다. 하지만 언젠가 보았던 드라마 '이산'에서도 그동안 생각했던 사도세자의 모습은 달랐고, 소설 '사도세자 암살 미스터리 3일'이라는 것을 보고도 과연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진실이 아닐꺼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무턱대고 도서관 검색창에서 사도세자라는 이름으로 검색하여 찾아낸 책이다. 그가 너무나도 궁금했고, 그에 대해 알지 못하고는 견딜수 없을것 같았다.

이 책은 사도세자가 죽음에 이를수 밖에 없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아마도 여러책을 더 읽어봐야지만 정확한 나의 의견을 피력할수 있겠지만 우선, 이 책으로 본다면 이미 조선은 쇠락의 길을 걷고 있지 않았을까 싶다. 조금씩 조금씩 곪아가는 상처가 터지듯 조금씩 조금씩 쌓여왔던 비극들이 모여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가지 않았는가 싶다. 성군이 될 자질이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궁지로 몰아간 이들... 어쩌면 더 강력한 대국을 만들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시대를 앞서간다는 이유로 물과 기름처럼 한데 어울리지 못하고 제거 대상이 되어 한없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곪아터지게 한건 아닌지 모르겠다. 나의 견해로선 소현세자도 그랬고 사도세자도 그랬고, 아버지를 잃었던 어린 정조도 만약에 아버지가 다스리던 나라를 물려받았다면, 임금의 자리에서 암살의 위협을 받지 않았더라면 이 나라는 일제강점기나 민족전쟁등의 아픈 과거를 갖지 않게 되었을거라는 생각이 내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어렸을 적에는 조선의 왕들은 모두 대단한 이들이라고 생각을 했다. 위대한 업적을 남겼고 백성을 사랑했고, 설령 어린 조카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다거나, 아들을 뒤주속에 가둬 죽였을지라도 그들은 참 위대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 한쪽만을 편애하는 이야기만으로 그들을 평가하고 단지 울화병이 있어서 미쳐가고 있는 왕세자였고, 그의 불쌍한 아내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금물인것 같다.

영조를 생각하더라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무수리 어머니를 가졌다는 컴플렉스를 가진 왕이었고, 장수하여 조선왕중에 가장 오랜시간 통치를 하였고, 영정조 시대를 통해 탕평책을 펼쳐 좋은 인재를 고루 등용시켰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는 어찌보면 양위하겠다는 것을 빌미로 선조가 임진왜란중에 세자였던 광해군을 괴롭혔던것처럼 무던히도 사도세자를 괴롭혔다는 것을 알았다. 물론 내가 지금 영조의 생각까지는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그만큼 양위를 들먹이면서 자신이 갖고 있던 컴플렉스를 숨기려 했던 것은 아닐까 싶다. 탕평책을 주장했던 그도 어쩔수 없이 강력한 왕권을 갈망하던 아버지 숙종에게 선택받았고, 경종을 독살하려 했다는 것에서 벗어날수 없었던 왕이기에 부자지간의 천륜도 정치적 관점에서는 과감하게 버리고 아들을 비정하게 죽여야만 했던 한 정치인에 불과했으리라.

사도세자 그도 왕으로서 태어났고, 왕이 되기 위해 길러졌고, 조선이라는 나라에 살고있는 백성들을 위해 어떻게 다스려야하겠는지에 대한 꿈이 있었을 것이다. 그가 여러 행차때 백성들에게 보여줬던 모습들은 그저 아쉽기만 했다. 어쩜 그는 사대부를 위한 나라가 아니라 백성들을 위한 나라를 꿈꿔왔기에 철저하게 고립되다가 제거된것이 아닐까한다. 그가 뒤주속에서 죽어가던 그 여드레동안 조선도 죽어가고 있었다. 그는 위대한 왕으로 그저 사도세자라는 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우리기억속에 충분히 남아있었어야 하는 왕이었음은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