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바뀐 딸
마크 탭 외 지음, 김성웅 옮김 / 포이에마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어떤 의미였을까? 도서관에서 이 책을 만났을 때는 태어났을적에 뒤바뀐 아이들 한참을 자란 뒤에야 알게되었다는 그런 이야기인줄 알았다. 가끔 신문을 통해서 전해지는 이야기를 들으면 가끔은 어떤 느낌일지 생각해보곤 했다. 정성들여 기른 아이가 내 아이가 아니라면... 후에 이 일을 알았다면 낳은 아이를 길러야 할까... 기른 아이를 길러야 할까... 그런 이야기를 또 생각하면서 책을 폈는데 내 예상이 빗나가고 말았다.

 

2006년 4월 26일 테일러 대학의 승합차가 마주오던 트럭과 정면 충돌하면서 다섯명이 그자리서 즉사하는 사고에서 시작을 한다. 세락 가족은 사랑스런 막내딸인 휘트니를 이 사고로 잃었다. 항상 밝던 딸의 마지막 모습을 핏기없는 모습으로 기억하는 것이 싫어 그녀의 시신을 확인하지 않았다. 그리고 장례를 치른고 남은 가족들이 이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노력을 한다 해서 잊혀질까.. 사랑하던 가족을 잃었는데 말이다.

반면, 반린 가족의 막내딸 로라는 심하게 다치기는 했지만 목숨만을 건지고 병원에서 혼수상태에 빠져있었다. 그들에게더 얼마나 가슴을 쓸어내리는 일이었을까? 모든 가족들이 로라에게 매달리며 그녀가 다시 회복될수 있기를 바라며 정성으로 간호를 한다. 로라의 언니가 블로그를 개설에 그녀의 상태를 올리면서 많은 사람들과 함께 그녀의 회복을 기원한다. 서서히 그녀가 회복되면서 로라가 아님을 알게된다. 사고 당시 신원확인에서 사소한 실수가 이 두가족을 5주만에 천당과 지옥을 오가게 만들어 버린 것이다.

 

슬픔을 뒤로하고 가족을 서서히 떠나보냈던 세락 가족이 그녀가 살아있다라는 말을 들었을때, 그리고 그녀를 다시 보게되고 만지고 대화하게 되었을때의 기분은 어떤 것일까?

그저 회복만 되기를 바라면서 큰 사고에서 살아남은 딸아이가 서서히 의식을 찾아가면서 혹시 내 딸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 결국에는 딸아이가 더이상을 볼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또한 그 절망이라는 느낌은 어땠을까?

 

나는 특히나 자신의 딸인줄 알았던 아이가 '가짜 부모'라고 말하고 '집에가겠다'라고 하는 말을 들으면서 혹시나 그녀가 아닐까 하는 것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손이 부들부들 떨렸었다. 그저 회복되기만을 바랬던 아이가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휘트니 입장에서는 어땠을까.. 사고를 당하고 나서 기억이 없다가 의식을 찾았을때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다른 이름을 대면서 자신의 주위에 있을때의 느낌을 어땠을까....

 

세상에는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수 있을까'라고 의문을 갖게 되는 이야기들이 많기는 하다.. 절대로 일어날수 없을거라는 일도 일어난다. 하지만 이 사건은 있을수 있다라고 생각한다. 사고현장에서 약간 외모가 비슷하고 얼굴이 부어 있는 경우라면 또한 급박한 상황에서 신분이 뒤바뀔수도 있긴하지만 두 가족의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상활을 생각했다면 결코 있어서는 안될 이야기일 것이다. 더군다나 누군가를 원망하지 않고 바뀐 상황을 받아들이고 모든 가족들이 함께 큰 고비를 잘 이겨내는 모습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휘트니의 건강을 빌며 하늘나라에 있을 로라가 편히 잠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