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15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롤프 레티시 그림 / 시공주니어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도 어렸을 적 '말괄량이 삐삐'라는 TV 프로그램을 아주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내 머리속에는 삐삐의 주근깨 투성이의 어린 모습이 남아 있는데 말이다. 어른이 된 삐삐와, 토미 아니카의 사진을 보고는 내심 실망이.. 내가 나이를 먹듯 그들도 나이를 먹는지를 몰랐다. 물론 배우가 나이가 먹은것일 테지만 우리맘속에는 그들은 여전이 앙증맞은 어린이들 아닐까 싶다. 그래서 어른이 된 삐삐 사진은 PASS!!

삐삐.JPG
 

원래 이 소설은 읽은 계획에는 없었지만 우리딸과 토론을 위해서 읽었다. 근데, 참 신기한 것은 말이다. 어렸을 적에 보던 삐삐는 도둑을 혼내주고, 학교가 재미없다고 하고.. 뭐, 모든 사건들이 통쾌하기만 하고 참 신기한 아이라고만 생각을 했는데 말이다. 지금 읽으면서 보니 삐삐는 너무나 허풍쟁이에다가 버릇없는 아이이기만 하다. 어린이의 맘으로 볼때와 어른의 맘으로 볼 때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일까? 왠지 슬프다...
 삐삐2.JPG

요즘 급! 조성자 선생님의 팬이 되어 버렸다. 지난번 강연회에 갔다 온뒤로.. 이 책도 조선일보를 통해서 조성자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신 책인데 아이들은 책을 읽으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낀다고 한다. 물론 아이들뿐 아니라 독서를 하는 누구나가 다 느끼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삐삐가 함께 사는(기른다는 것보다 이 표현이 맞을듯) 원숭이 닐슨씨나 베란다에 사는 말(이름이 기억안난다)을 기르는 것을 보고 아이들은 대리만족이라는 것을 느낀다. 요즘 같이 아파트에 많이 사는 아이들은 동물을 키운다는 것이 쉽지만은 아니니 말이다. 우리도 마당이 넓은 집에 가면 강아지를 기르겠노라 약속은 했지만 넓은 마당을 가진 집으로 갈 계획은 없다. 그러니 우리딸도 강아지 기를일을 없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햄스터를 한마리 기르고 있다. 무척이나 지 동생마냥 아낀다. 그런점에서 삐삐는 아이들에게 참 부러운 아이인것 같다. 

삐삐3.JPG

삐삐는 학교도 다니지 않는다. 학교에 가서도 허풍만을 떨다가 고만뒀다. 요즘 아이들은 학교다녀오면 이런 저런 학원다니느라 바쁘다. 우리딸도 선생님인 엄마덕에 남들 다니는 공부방이나 학원은 안다니지만, 집에서 하는 영어 학습지, 일주일 한번인 논술 수업, 그리고 눈만 마주치면 불러다 앉히는 엄마!!! 너무나도 공사가 다망하신 요즘 아이들에게 삐삐는 정말이지 선망의 대상같긴 하다. 아마도 어린시절의 나에게도 모험을 하는 삐삐가 마냥 좋았을런지 모르지만 성인이 된 나에게 정말 저 9살 아이가 혼자 살수 있을까? 적어도 최소한의 공부는 해야지 될텐데 부터 시작해서.. 너무 버릇없는 것은 아닌가.. 거짓말을 저리 해서 어쩌나... 이런 걱정만 한보따리가 되고 마니...

같은 이야기를 똑같은 사람이 읽은건데 30여년의 시간이 이렇게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것에 놀람을 금치못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