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프 몽실북스 청소년 문학
천지윤 지음 / 몽실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전부 다 읽지는 않았지만, 유발 하라리의 < 사피엔스 >의 초반부에 언급되는 이야기 중에 하나가 우리에게 여러 인간 종이 있었다는 것이다. 지난 1만 년간 우리 종은 지구상의 유일한 인간 종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스스로를 유일한 인류라고 생각하는데 익숙해 있다. 하지만 '인간'이란 말의 진정한 의미는 '호모 속에 속하는 동물'이고, 호모 속에는 사피엔스외에도 여타의 종이 많이 존재한다.(p.22, < 사피엔스 >)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정복한 것은 언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떠오른 것은 이 소설에 등장하는 '호모 사피엔스', '호모 프로프리우스'라는 말 때문이다. 신종 바이러스의 발생으로 인류의 50%가 사망하게 되었다. 이 상황 속에서 살아남는 이가 있다면 인간은 또다른 면으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어떠한 욕심이 관여하게 된다면 자멸하는 길 밖에는 어떠한 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조이는 자신의 생체시계가 일주일여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세상은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고, 백신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더이상 자신에게 남은 시간이 없음을 알고 조이는 잠든 가족들에게 조용히 인사를 하고 사라졌다. 해솔은 조이가 연구하던 인공두뇌 시큐어를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이게 된다. 시큐어를 만들어낸 후 방대한 양을 기반으로 정확한 예측을 통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또다시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말았고, 조이와 아들 마루를 잃은 해솔은 자취를 감춰버린다. 함께 연구를 진행하던 가온은 시큐리를 자신의 머리에 이식하는 방법을 택하고 만다.

작가는 앤솔로지 < 우주전함 강감찬 >에 「낙성」으로 발표했던 이야기에 앞뒤로 이야기를 더해 완성도를 높였다. 뭔가 열린 결말이었던 이야기가 장편소설로 변모를 하면서 꽉 닫힌 이야기가 되었다고나 할까. 요즘에는 AI가 주목받고 있는데, 인공두뇌와 인류를 공존할 수 없는지 곰곰하게 생각해볼 문제라고 본다. 시큐어가 인간을 지배하겠다는 농담같은 이야기와 강아지를 구하기 위해 인간을 위험하게 할 뻔한 행동에 조이는 생명에도 순서가 있다고 외친다. 인공지능의 발달은 어쩌면 인간이 지배될 수도 있는 위험이 있기는 하다. 현재도 AI로 인해 좋은 점도 있지만, 나쁜 곳에 사용될 위험도 배제할 수 없기도 하다. 하지만, 조이의 "생명에도 순서가 있다고, 순서가! 인간의 생명이 가장 중요해! 다른 건 모두 그 다음이라고!"라는 말에는 동의하기가 힘들다. 학습능력이 뛰어난 인공두뇌라면 어떤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할수 있도록, 세상에 이익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또한, 이 제목 "호프"는 참으로 마음에 든다. 최악의 상황이어도 희망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