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초대륙 - 지구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판구조론 히스토리
로스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를 구성하는 대륙의 이동은 거대한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야기이다. 공간적으로도 매우 넓고, 시간적으로도 너무나도 오래된 과거부터의 이야기 때문에 쉽사리 이 사실을 밝혀내는 것은 그다지 쉽지 않다. 흔히, 판구조론의 시작은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부터이다. 베게너는 대륙이동에 대해 탁월한 증거를 제시했지만 그 원동력을 설명하지 못했었다. 그래서 '대륙 이동설'은 이론으로의 신분 상승을 하지 못했다. 나는 사실, 이 점 때문에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을 꽤 가볍게 보았었다. 하지만 이 책 < 다가올 초대륙 >을 읽다보니, 베게너에게 제대로 사과해야만 할 것 같다. 해양은 판구조 운동의 비밀을 쥐고 있는 존재인데, 베게너에게는 대륙에 관련된 자료만 있었기에 그곳에 중점을 두었다. 부족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베게너는 초대륙이라는 새로운 장을 연 과학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진 베게너를 너무나도 가볍게 생각했던 것 같다. 짧은 시간동안 설명할 수 있는 이론들도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들이 담겨져 있다는 것을 잠시 간과했던 것 같다.

한때는 지질학자를 꿈꿨던 적이 있었다. 어쩌면 지질학자라기 보다는 지질학과 진학을 염두해 두었다는 표현이 맞을테다. 아마도 기록할 수 있는 인류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의 이야기가 화석과 지층의 씌여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면서 재밌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쉽사리 방향을 바꾸었던 이유는 아직 정확히 뭐가 좋은지 모르고 과학분야를 모두 좋아했던 팔랑귀가 아니었을까.

초대륙은 베게너가 말한 고생대 말엽에 있었던 '판게아'만이 아니었다. 그 보다도 더 오래전인 12억년전의 로디니아도 있었다. 초대륙은 생겼다가 분리되었다가 다시 생기게 된다. 인간사 이야기가 돌고 돌듯 지구의 이야기도 돌고 돈다. 그리고 유독 기억에 남는 이야기 중 하나는 아주 오래전 지구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는 험한 산지들 낮은 산들이라는 것이다. 지하 깊은 곳에서 숨겨져 있던 아주 오래된 지층이 서서히 지표로 노출되면서 그동안 숨겨왔던 비밀을 하나 둘 풀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마치 그 옛날 이야기를 풀어내는 할머니들처럼 말이다. 지구의 미래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는 과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