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학교
허남훈 지음 / 북레시피 / 2025년 3월
평점 :
어느날 우연스레 날아든 빛바랜 엽서 한장으로 놀라운 여행이 시작된다. 처음엔 낯선 '실체 엽서'라는 말이 있었고, 등장인물들의 이름들은 대충 알겠는데, '나'의 이름은 무엇일까? 그런데 찾았다. 허지환. 하마터면 주인공 이름도 몰랐을 뻔했다. '실체 엽서'라는 건 사용된 엽서들인가보다. 엽서.. 참 오랜만에 듣게 되는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오픈되어 있는 엽서에 뭔 사연을 그리 적어 보냈을까. 공식적인 글이 아닌 다음에야 누군가가 읽어볼 수도 있을텐데 말이다. 지금에서야 이런 생각을 하는 것보면 운치라는 것이 사라졌는가 싶기도 하다.
이 이야기는 밤이 되면 시간을 넘어 역사 속으로 들어가는 지환이가 있다. 꿈인지 현실인지 구분할 수 없지만 학교의 곳곳은 우리 민족이 독립을 위해 싸웠던 역사의 현장이 되어 만나게 된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던 안중근, 최초 여성 파일럿이었던 권기옥, 그리고 윤동주와 송몽규. 학교에서 잠이 들면 자정이 되면 이끌려 가는 역사 속이 며칠째 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밤이나 낮이나 드나드는 기옥에게서 혹시나 다른 방법이 있는지 묻게 된다. 작별인사를 하러 왔던 기옥은 다른 문의 존재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그 문을 찾아나서게 된다.
"잊지마. 학교야말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다 함께 모여 있는 유일한 공간이라는 것을."(p.156)
그런데, 왜 학교가 역사를 연결해주는 장소가 되었을까. 아마도 답은 여기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모여 있는 장소라는 것 말이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하지 않았던가. 그래서 앞으로 미래를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과거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꽤 중요한 문제이다.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도 을사늑약은 체결되었고, 을사오적에 의해 나라는 차츰차츰 주인을 잃어갔었다. 외세의 힘에 의해 나라를 잃었었는데, 이제는 체제 전쟁들이 한창인 것 같다. 왜 우리는 이런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을까. 아마도 학교라는 공간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만 있을뿐 미래까지는 장담할 수 없게 되지 않았을까. 당장은 아니더라도 희망을 잃지 않았을 그들의 노력을 다시금 마음에 새겨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