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녀를 지키다
장바티스트 앙드레아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수도원 지하에 누구도 볼 수 없게 가둬진 '피에타'상이 있다. '피에타'라고 하면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상이 떠오르게 마련이다. 다른 '피에타'는 생각도 하지 못했었는데, 다양한 피에타상이 있었다. 이러니까 나는 상상력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수도원 지하에 봉인된 비탈리아니 피에타상에 얽힌 이야기를 쫓는 현재의 이야기와 그 조각상을 조각했다는 '미모'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흔히들 "난장이"라고 불뤼는 왜소증인 미켈란젤로 비탈리아니는 미켈란젤로보다 더 뛰어난 조각가가 되라는 뜻에서 어머니가 붙혀준 이름이었다. 그러나 미켈란젤로는 자신을 부모님이 부르던 '미모'로 불뤼기를 더 원했었다. 아버지가 전쟁으로 사망하면서 먼 친척뻘(실은 친척도 아니었다) 삼촌에게 맡겨지게 되었다. 삼촌과 머물게 되었던 곳에서 이탈리아의 명문가의 딸인 비올라를 만나게 된다. 당시 사회에서 여성들에게는 책을 읽을 자유도 허락되지 않았지만, 비올라는 책을 읽고 또한 미모와도 격없이 지내게 되었다. 비올라는 하늘을 나는게 꿈이었고, 미모는 위대한 조각가가 되는 것이었다. 어쩌면 비올라는 재능을 가지고 있던 미모를 더욱더 빛나게 하기 위해 조각하는 입장이 아니었나 모르겠다. 생년월일까지 같은 두사람을 비올라는 "우주적 쌍둥이"라고 칭하며 절친이 되어간다.
비올라의 약혼이 발표되던 날, 비올라는 하늘을 날고자 해서 만들던 캐노피를 메고 지붕위를 내달렸지만 추락하고 말았고, 미모는 삼촌의 심부름으로 피렌체로 떠나면서 이별을 하게 된다.
이 소설은 장바티스트 앙드레아의 네번째 소설이라고 한다. 이 소설로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공쿠르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장바티스트 소설은 처음 읽는 것이지만, 600여페이지의 많은 분량이지만 정신없이 읽어나가게 된다. 왜소증을 갖고 있는 소년과 억압과 가문에 뜻을 따라야만 했던 소녀. 어쩌면 주어진 운명을 수긍하는 것보다 투쟁하며 극복해 나가는 점이, 오늘의 이 허탈한 마음에 위로가 될런지 모르겠다. 장바티스트는 영화감독으로서도 활동을 했다고 하는데, 자신의 소설을 영화화하는 것은 어떨까 싶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