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도 책이란 말씀이야!
정미 지음, 김송이 그림 / 책과나무 / 2025년 2월
평점 :
고물상의 창고에 갇힌 '책이야'. 사실 책이야는 학교 창의 활동으로 책만들기를 했는데, 그때 책 표지에 붙어 있던 책 속 캐릭터이다. 아직 책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책이야는 누군가가 책을 완성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런데 왜 고물상이냐. 책만들기를 했던 아이가 고물상 앞에 떨어드리고 말았는데, 분실물 보관함에 버려졌다가 고물상 창고로 오게 되었다. 책이야는 비닐로 코팅된 종이 인형인데, 어서 아이들이 상상력을 더해 자신을 책으로 완성시켜 주었으면 하는데, 창고에서 만난 낡은 책 속에서 불쑥 나타난 할아버지에게서 '상상의 책방'에 대해서 듣게 된다. 그곳에서 책이야는 아이들을 만날수 있을 테다. 하지만 그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게임 캐릭터가 득실되는 PC방을 지나가야 한다. 과연 책이야는 상상의 책방으로 갈 수 있을까.
아마도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서 책을 읽으려는 아이들에게 방해가 되는 게임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책 캐릭터와 게임 캐릭터와의 대결 구도를 설정한 것 같다. 만약에 아니라면 내가 어른이어서 그렇게 느낀 것일까. 요즘엔 책을 손에 든 사람보다 스마트폰을 손에 쥔 사람들이 많다. 오죽하면 건널목에 신호등을 보도블럭 끝자락에까지 설치했을까. 길을 걸으면서도 스마트폰에 정신이 팔린 사람들을 보면 이해할 수가 없다. 정말 급한일 때문이라면 모르지만,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보느라 사람들이 많아서 복잡한 길에서도 타인에게까지 불편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 책이야는 어딘지 모르게 그 옛날 '말괄량이 삐삐'를 생각나게 한다. 엉뚱하지만 상상력이 풍부한, 어쩌면 지금의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