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마
나혜원 지음 / 사유와공감 / 2025년 3월
평점 :
나혜원 작가의 소설집 < 해마 >에는 6편의 이야기가 있다. 「변호할 권리」, 「상흔」, 「해마」, 「마리모」, 「아귀 마을」, 「해방」에는 주변인으로 상처 받고 , 그로 인해 정신적 트라우마를 가지고 사는 이들이 등장한다. 사실, 나는 단편에 조금 약한 편이다. 내용을 이해하기도 전에 끝나버리는 바람에 내가 지금 무엇을 읽었는가라는 생각을 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동안 근육을 키웠을까. 어째 이번 이야기들은 잘 읽어나갔다. 어찌 보면 단편에 익숙해졌기도 했고, 이야기들이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한 듯하다.
특히나 「마리모」에서는 경영학을 전공했지만 교직을 이수하고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유연이 등장한다. 학교앞 캠패인에 사인하고 받은 '마리모'. 마리모는 담수성 녹조류의 일종으로, 물이끼 정도로 생각하면 무난하다고 한다. 언젠가 마리모를 본 적이 있는데, 마리모를 키우는 게 뭔재미가 있을까 생각도 해봤는데.. 어쩌면 유연이가 마리모와 닮은 것 같다. "일 년에 두세 번 마리모는 스스로 바닥에서 수면으로 떠오르기도 한다고 전해집니다. 일본인들은 마리모가 물에 떠 있는 모습을 보는 이에게는 행운이 찾아오다고도 하고, 사랑이 이루어진다고도 하며, 혹은 오랜 소원이 이루어진다고도 말합니다."(p.115) 아마도 유연은 바닥에서 수면으로 뛰어오르는 그 날을 기다려왔던 것 같다. 하지만 그리 녹록치 않았다. 마리모와 함께 있을 체리새우를 구입했지만, 서서히 물에 적응할 시간을 두지 않아서 죽게 만든다. 유연은 자신에게 꼭 맞는 체리새우를 만나길 바랬지만, 현실을 참으로 가혹하다. 참 슬프다....
우리는 누구나 상흔을 안고 살아간다. 어떤 상흔은 알아봐달라고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어떤 것은 속으로 꾹꾹 가슴 속 깊이 담아두기만 한다. 그런 상처를 딛고 일어나면 좋겠지만, 그다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이 이야기가 더 마음에 다가온다. 어찌보면 현실적이라 더 마음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