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위의 과학자 - 망망대해의 바람과 물결 위에서 전하는 해양과학자의 일과 삶
남성현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늘상 도심에서 살았다. 아무리 둘러봐도 바다라곤 보이지 않는... 그냥 흘러가는 계곡물 정도라고나 할까. 성인이 되고 나서 하루에 몇번씩 한강다리를 지나다니는 정도. 그래서 가끔 바다를 가게 되면 그야말로 익룡소리를 내면서 좋아라 했다. 그런데.... "그런데 여러분, 이건 바다가 아닙니다. 그저 바닷가지요.(p.17)" 두둥!!! 누가 과학자 아니랄까봐 이렇게 사실관계를 바로잡으실까.. 하지만, 그 말이 맞다. 우리가 늘상 보는 강이나 호수는 지구 전체의 물 중에서 겨우 0.01%밖에 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 바다는 전체 물의 97.4%를 차지하고 있으니, 내가 흥분하면서 보기 좋아하는 그 바닷가는 바다의 극히 일부분, 다시 말해 해양 가장자리의 극히 좁은 테두리에 해당할 뿐이다. 저자는 육지가 보인다면 아직 바다라고 부를 수 없다라고 말한다.

저자는 그런 바다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직접 바다로 간 해양물리학자이다. 1년에 3~4번씩 배를 타고, 육지가 보이지 않는 그야말로 망망대해에 나가서 여러가지 관측 장비를 바닷속에 설치한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과학적 원리를 발견한다. 참 신기한게 말이다. 자연에서 벌어지고 있는데, 이 과학자라는 사람들은 그 현상을 어떤 수식으로 표현하며 향후의 일들을 예측한다는 것이다. 정말로 자연 현상들이 그 수식에 맞춰서 행동한다고? 그런데, 정말로 그렇다. 어쩌면 자연 현상들이 수식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많은 데이터들을 통해 자연현상에 맟춤 수식을 만들어내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그래서 가끔 이런 이야기들을 만나면 참으로 오묘한 그 세계가 너무나도 흥미롭게 다가오기도 한다.

특히나, 이 책을 읽다보면 바다가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인류는 우주에까지 눈을 돌리고는 있지만, 우주를 탐사하는 것보다 바다를 탐사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저자는 말한다. 우주는 그저 1기압이라는 대기압에서 진공의 환경이지만, 바다는 수심 10m마다 더해지는 1기압의 힘때문에 쉽사리 우리에게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언제쯤 바다는 우리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 아마도 바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인류가 아니라 바다가 마음을 열때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