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상 식탁
설재인 지음 / 북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을 처음 만났을 때 어쩐지 "뱅상 식탁"은 한팀만을 받는 '원테이블 식당'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하러 가는 곳에서 만난 '원테이블 식당'을 보면서 이 책을 떠올렸다. 그런데, 이 책 의 처음에 그려진 '뱅상 식탁 도면'을 보고는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 의문이 들었다. 그 의문은 풀지 못한채 이 책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뱅상식탁은 특이하게 주방을 통해서 식당 내부로 들어간다. 주방을 가로 질러 내부로 들어가면 어두운 복도를 지나면 4개의 독립적인 식탁이 존재하고(서로 프라이빗한 공간이다) 2인용 의자가 준비되어 있어서 손님들은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어야 한다. 빈승은 미미와 함께 일종이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기 모인 4팀의 손님들. 첫번째 테이블의 손님들은 소설가를 꿈꾸는 만학도 대학원 동기다. 수창은 교장으로 정년퇴임을 하고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하지만 한참 어린 동기들과는 어울리기 힘들었고, 자신보다 한참은 어리지만 애진도 다른 이들보다는 나이가 많아서 수창과 어울리게 되었다. 두번째 테이블에는 예약을 안 받는다고 해도 마감공지를 하지 않았냐며 따지던 모녀다. 딸이 어렸을 때, 남편과 사별했고, 엄마는 딸의 모든 것을 통제하려고 한다. 딸은 결혼을 하며 엄마에게서 벗어나려고 한다. 세번째 테이블의 손님은 똑같은 원피스를 입고 있다. 자매처럼 보이나 그 둘은 동창이다. 예전에는 유진이 우위에 있었고 상아는 쫓아다니는 무리중 하나였지만, 지금은 자식들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바뀐 상황이었다. 마지막 테이블의 두 사람은 직장동료이다. 그야말로 사수와 부사수. 부사수인 민경은 명문대를 나왔지만 일하는 것은 영 매끄럽지 못하다. 서로의 속마음은 그다지 친해보이지 않다. 서로의 이야기가 무르 읽을 무렵, 총성이 울린다.

빈승은 미미의 명령에 따라 그들에게 말한다. 테이블당 한사람만 살아 나갈 수 있다. 주어진 시간은 10분. 과연 그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

마치 이 소설은 연구의 형태를 띠고 있다. 바로, 목차가 연구배경, 연구과정, 문제 제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읽다보면 알겠지만 연구도 뭣도 아닌 그냥 한 범죄의 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또 생각을 하게 된다. 정말로 총을 들어야, 칼을 쥐고 타인을 찌르는 것만이 범죄일까. 법의 테두리만 잘 벗어나게 된다면 그것이 사회적으로 정한 "죄"가 되진 않는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까도 싶다. 권력만 잡는다면야 자신의 죄도 없어지게 법을 바꾸는 세상인데 말이다. 고립된 상황에서 누군가는 살아남을수 있고, 누군가는 죽어야만 한다면.. 우리는 아니 나는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을 악의 화신으로 만들수 있을까. 그것이 정말 인간들의 본성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