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지 않게 반짝이는 별 하나
이도하 지음 / 마음시회 / 2024년 6월
평점 :
사랑과 삶의 경계, 그 아픈 간격의 기록들..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상처없이 살아가는 영혼은 어디 있을까. 하지만, 내가 겪었던 그 아픈 기록들 중에서 제일로 힘든 것은 엄마와의 이별이었다. 누구나 겪는 아픔이지만 처음 맞이했던 그 순간, 그로부터 많은 시간을 지나왔지만 여전히 그 아픔은 무뎌지지 않고 있다. 난생 처음 무기력해짐을 느끼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 편에서 괜찮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나 혼자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다. 저자도 아버지의 암 판정과 자신의 척추질환으로 인한 힘들었던 과정에 있어서인지 공감이 되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아프면 아프다 말하고, 힘들면 그냥 쓰러져도 괜찮아요. 비가 오면 우산 속으로 숨어드는 것이 맞는 거예요. 당신의 어깨에 짊어진 삶의 무게로 넘어지고 싶을 때가 있다 해도.(p.71)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이 났었다. 지난 시간이 그리워서 혹은 못해준 것만 기억이 나서.. 그래도 식구들은 그냥 나를 내버려뒀다. 그래서 더 공감이 되는 말이다. 슬프면 마음껏 슬퍼해야지, 아프면 그냥 아파야지.. 슬프지 않은듯, 아프지 않은듯 해봐야 나는 강해지지 않는 것 같다. 슬프면 슬픈대로, 아프면 아픈대로 내 감정을 표현해야 속으로 곪지 않을테니까..
참 신기하다. 몸이 피곤하다고 혓바늘이 돋았다. 혀를 많이 사용한 것도 아닌데 혹사 시킨 몸과 정신이 멀쩡한데 엉뚱하게 혀에 상처를 남겨 나를 고통스럽게 한다. 삶도 사랑도 아무렇지 않게 지나온 듯하지만 엉뚱한 곳에 상처를 남겨 아프게 한다.(p.184)
누구나 상처를 받는다. 다만, 그 상처가 엉뚱한 곳에 남기도 한다. 어쩌면 상처를 받더라도 아프지만 원인을 살짝 숨길수 있게 엉뚱한 곳에 상처를 남기는 것이 아닐까. 유독 눈에 들어오는 한마디. 그 흔적들이 슬프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p.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