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돌아온 학교 지금 우리 학교는 4
박현숙 지음, 양소현 그림 / 꿈터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우리 학교는 시리즈"의 4번째 이야기! < 아이들이 돌아온 학교 >

전작의 제목들이 < 선생님이 사라지는 학교 >, < 선생님이 돌아온 학교 >, < 아이들이 사라지는 학교 >이다. '3분 공연'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덕에 학교로 전학오는 아이들이 조금식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아마도 < 아이들이 사라지는 학교 > 이야기인가보다. 전작들도 챙겨봐야겠다. 다른 학교로 전학갔다가 다시 돌아온 아이들이 있는 가운데 성우는 원래 이 학교 학생은 아니었다. 그런데, 성우는 매번 수업시간에 엎드려 있다. 선생님이 일으키긴 하지만 곧바로 엎드리곤 한다. 하지만 미술시간에는 전혀 다르다. 엎드리지 않고 수업에 참여한다.

어느날, 태석과 서림이는 학교 교문에서 성우가 엄마랑 실랑이 하는 것을 보았다. 학교에 가고 싶지 않아하는 성우를 억지로 학교에 밀어 넣고 성우 엄마가 떠난 자리에서 서림이는 '금으로 만든것 같은 책갈피'를 발견한다. 성우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서림이는 태석이에게 미루다가 종이에 감싸서 얼른 성우가 자리를 비운 틈을 타서 성우 책상속에 넣는다. 그런데 이것을 고백편지라고 헛소문이 돌면서 자꾸만 오해가 쌓이고 의도치 않은 일들이 일어난다. 급기야는 모둠활동으로 미술시간에 그린 그림에서 성우의 활약이 월등했음에도 서림이는 태석이가 거의 다 그렸다고 말을 해버린다. 태석이는 최고 점수를 받았지만 어쩐지 마음이 불편해지면서 자꾸만 성우가 신경 쓰이게 된다.

요즘 아이들은 예전과 달리 순수한 면이 많이 사라진 것만 같다. 확실하지 않은 소문은 점점 부풀려져서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된다. 아이들 사이뿐 아니라 어른들의 세계도 마찬가지다. 잘못 전해진 이야기들을 마치 사실인냥 전해지는 탓에 곤란한 일들이 많아진다. 그렇다고 아이들을 탓해서는 안된다. 분명 아이들의 행동은 어른들의 행동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 동화속에서 선생님은 아이들이 스스로 인정하고 바로잡기를 바란다. 어쩌면 요즘 학교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생각하면 아이들이 스스로 해결할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어른들의 몫이라고 생각된다. 자칫 해결해준다고 나서게 된다면 일을 그르칠 수 있다. 이제, 정말 학교에서의 생활은 선생님과 아이들에게 돌려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