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벽의 세계사 -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ㅣ 비판적 사고력 시리즈
그레거 크레이기 지음, 아르덴 테일러 그림, 최영민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4년 3월
평점 :
어떤 아파트들을 보면 건물뿐 아니라 단지내로 들어설때도 손쉽게 드나들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여러번의 방문을 확인하고 나서야 들어갈 수 있다. 좀 야박하다는 생각도 하지만 또 한켠으론 이해하지 못할 부분은 없다. 어찌보면 일반 주택의 담이나, 아파트를 둘러싸고 있는 담들 또한 장벽이 아닐까.
장벽은 다양한 이유로 세워졌다. 자신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납세자로부터 손쉽게 돈을 벌기 위한 목적도 있다. 장벽 안에 있으면 보호 받는다는 생각이 들터이다. 하지만 반대편 사람들은 어떠할까. 다른 집을 방문할때 단지 입구부터 초인종을 누르거나, 먼 길을 돌아가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어찌보면 그들도 이해할 수가 있다. 그 장벽에 담긴 뜻이 바람직할 때는 말이다.
이 책에서는 1. 들어가려는 자, 막으려는 자 2. 거대한 감옥, 잔인한 사건 3. 농업과 목축을 위한 장벽 4. 적에 맞서는 장벽 5. 홍수와 동물을 막는 장벽 6. 전쟁과 불평든이 만든 장벽 7. 번화하고 부유한 도시의 장벽 8. 돈을 벌어주는 장벽 9. 땅의 경계를 정하는 장벽 10. 미래의 장벽의 열가지 장벽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자신의 재산을 지킨다거나,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장벽(국경) 등은 이해할 수 있지만, 어떤 이들을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장벽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후자는 다른 이의 자유 또한 억압하는 일이니 말이다. 대표적인 예로 바르샤바 게토 장벽이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는 폴란드를 점령했을 당시 유대인을 바르샤바 게토라고 알려진 도시로 이동하고 장벽을 쌓았다. 게토 안의 상황은 끔찍했고, 지금껏 지어진 것 중에서 가장 잔인한 장벽 중 하나라고 한다.
이 책은 장벽의 세계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그리고 장벽에 담긴 뜻을 생각해보기에도 충분하다. 하지만 세상은 계속해서 바뀔테고 장벽의 의미도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미래의 장벽들을 좋은 의미만을 담고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