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련이 가져다준 선물 - 생사의 경계에서 비로소 보이는 것들
박균영 지음 / Soljai출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다가 땀이 나기 시작했다. 한여름이면 모를까 1월이었다. 그리고 찾아온 불면증, 심장발작, 우울증, 이명증..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 팔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이렇게 연이어 생기는 몸의 이상으로 병원을 찾게 되며 약성분을 비교해가며, 혹시 내성이 생기진 않을가, 평생 약을 먹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된다. 사실 처음에는 읽으면서 세상 참 피곤하게 사시는 분이라 생각했다. 내게 처방되는 약이 중복되거나 하는 것은 병원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자세한건 아닐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엄마가 개인병원에 다닐때 다른 병원에서 처방된 약 성분이 겹쳐서 조정해주신 기억이 있기 때문에, 그런 걱정은 안해도 된다 생각하고 있다. 또한 나는 너무나 둔감하고 의사의 진단을 너무 확신하고 있던가? 내가 먹는 약에 이렇게 고민해 본적이 없는 것도 같다. 하지만 나이를 생각해본다면 또 한편으로 수긍이 되는 면도 있다. 바로 내일 내게도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모르는일 아닌가.

사실 "시련"이 가져다 준 선물이라고 생각을 해본다면, 누구나 시련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생사의 경계"라는 말이 붙게 되니, 가볍게만 생각할 수 없을 듯하다. 한번도 생사의 경계라는 것을 겪어 본적이 없으니 말이다. 아, 한번 있다. 대학시절 친구들과 강원도에 간 적이 있었다. 차를 렌트했었는데, 산길에서 무슨일인지 차가 급하게 한바퀴를 돌았던 것 같다. 한바퀴였나? 맞은편에서 오는 차도 없었고 다행히 멈췄을때 그 짧은 순간에 어쩌면 우리들은 각자 생사의 경계를 넘고 있었는지 모른다. 잊고 있었던 기억이었다. 그랬구나...

시련은 누구에게나 온다. 하지만 그 끝은 언제나 불행하지만은 않다. 시련을 헤쳐 나가는데는 고통도 필요하고 출구가 없을 것이라 여겨지겠지만, 그래도 조금씩 헤쳐 나간다면 선물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도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