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나그네 2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사람들은 뮤지컬 "겨울 나그네"의 원작 소설로 기억하겠지만, 나는 예전에 TV로 방영되는 영화를 엄마와 함께 봤었던 것 같다. 그래서 영화라고만 생각했었다. 내용은 그다지 기억나지 않지만 강석우 배우님만은 또렷이 기억이 났었다는.... 그런데 이렇게 원작소설을 만나게 되니 무척 설렌다. 자전거를 타고 두 주인공이 대학 캠퍼스에서 부딪히는 장면은 이 이야기가 원조가 아닌가 싶다. 무척 인상 깊은 장면인데 말이다. 책을 읽다보면 여느 오래된 이야기들이 그렇듯이 고전적인 말투가 느껴진다.

어느 봄날, 의대생 민우는 불문과 다혜와 부닺힌다. 민우가 잘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안해 하는 다혜에게 민우는 첫눈에 반한다. 민우뿐 아니라 다혜도 민우에게 설레던 즈음에 민우 아버지의 회사가 부도가 나고, 형은 미국으로 도주를 하면서 알려준 주소로 민우는 이모를 찾아가게 된다. 민우는 사생아였다. 어린 날 엄마는 자살을 하고 아버지에게 맡겨지던 날, 왜 20살이나 차이나는 형은 자신을 지하실에 가뒀을 때,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라는 것을 알았다. 예기치 못한 폭행사건으로 민우는 교도소를 다녀오게 되고, 그 사이 가족들은 사라져 버렸다. 오갈데 없던 민우는 이모가 운영하는 기지촌으로 술집으로 숨어들게 된다.

친구 현태는 그를 복학시켜 원래대로의 길을 걷게 하고 싶었고, 민우를 사랑하는 다혜는 그를 품어주려고 노력했지만 민우는 계속해서 어둠속에서 방황하게만 된다. 이 소설은 1984년 동아일보에 연재되던 이야기였다. 사실, 민우의 방황은 조금 공감하기가 힘들다. 내가 그 상황을 겪어보지 않아서 이런 소리를 하는 것인지... 의대생이었고, 현태같은 친구와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었을 텐데, 40여년전에는 사회가 그런것인지 그의 방황이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

언제나 그 사람은 우리가 이미 지나온 옛 기억 속을 떠도는 나그네처럼 방황하고 있는 듯 느껴지는데요.(p.316)

사실 이 소설의 제목은 꽤 기억에 오래 남아있었다. '나그네'라는 말이 그냥 예뻐보인다. 하지만 민우의 방황을 생각해보면 그리 예쁜 말도 아닌것만 같다. 조금만 더 친구들의 내미는 손을 잡았더라면, 읽는 내내 방황하는 민우가 안쓰러웠다.

시대는 많이 흘러 달라졌지만, 그래도 러브 로망의 고전임에는 틀림없다. 이 소설을 다 읽고 영화를 찾아봤는데... 소설 내용을 다 담아내지 못해서 아쉽긴 하다. 역시 원작을 읽는 편이 개연성이 있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