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요리사 - 다섯 대통령을 모신 20년 4개월의 기록
천상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와대... 오래전에 청와대 견학을 가려 했었는데, 구제역이 꽤 크게 돌았었다. 그 때, 발신번호 제한으로 전화가 왔었다. 청와대였다. 구제역 확산을 방지를 위해 청와대 관람을 자제해 달라는 전화였지만... 사실상 오지말라는 통보였다. 우리집은 경기도라 하지만, 서울과 인접된 도시인데... 축산농가는 어디 있는지 모르는데... 늘상 출근을 서울로 하는데 이게 뭔인일가 기분은 나빴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그럴수도 있겠다 싶다. 아무래도 청와대는 국가 원수가 머무르는 곳이니까, 지나쳐도 된다 싶다.

청와대에서의 공직생활은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5년을 주기로 교체되는 것이 다반사이지만 천상현 요리사는 20년 4개월을 대통령의 요리사로 지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동안 모신 대통령이 무려 다섯분이다. 대통령의 삼시세끼를 챙긴다는 것도 참 힘든 일이다. 게다가 대통령이라는 이미지가 예전 조선시대의 왕보다 조금은 더 친근해서(국민이 뽑기에) 그런지 기미상궁까지 있던 그 시대는 당연해 보여도 대통령의 식사를 그렇게 검식관(대통령이 먹을 식재료를 사전 검사하는 것에서부터 완성된 음식을 시식하는 일가지 담당)이 필요하다는 것은 한번도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다. 국정을 운영하는 분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인데, 왜 여태 그 생각을 못했을까.

당시의 상황을 맞춰서 식단을 짜기도 하지만, 대통령이 원하는 음식을 마련하기도 한다. 그런데 해외 순방길에 비행기 안에서 준비되지 앟은 메뉴를 찾았다는 일화가 있었다. 기지를 발휘해서 음식을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굳이 비행기라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그냥 드시고 싶어도 참고 착륙한 뒤에 찾으시지라는 생각이 먼저 들기는 했다. 어쩜 재료가 미처 준비되지 않았다고 하면 다음에 해달라고 하셨겠지만, 또 모시는 입장에서 그런 기지를 발휘해서라도 원하시는 걸 준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지금은 퇴직을 하고 개인 식당을 운영하고 계시다는데, 한번 찾아가봐야 할 것 같다. 대통령이 드시던 음식일테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