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과 나 - 배명훈 연작소설집
배명훈 지음 / 래빗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화성이 보름달이 보이는 자리에(태양-지구-화성, 이 위치를 '충'이라고 한다) 위치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었다. 그래서 밤하늘에 보름달 근처에서 보이던 유난히 붉었던 별이(사실 행성이지만) 생각났다. 유난히 붉다라고 생각했던 것이 화성이었다. 화성이었을테다. 별이라 보기에는 좀 크게 보였으니까 분명 화성이 맞았을 것이다. 나는 짚어주지 않으면 별자리도 잘 모르는 사람이니까, 혹은 아닐수도 있겠지만 나는 화성이라고 믿는다. 화성은 그렇게 우리와 가까운 행성이다. 만약 지구에 문제가 생겨서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한다면 거부감이 들었겠지만, 화성은 밤하늘에서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위화감은 없다. 다만 공기는 매우 희박하고 물이 흘렀던 자국만 있을뿐 물이 없는 메마른 땅이라는 것이 맘에 걸리긴 하다. 그렇다고 상상하지 못할 일은 아니다. 작가도 외교부로부터 "먼 미래에 화성 이주가 본격화 되면 화성에 어떤 세계가 들어설 것인가"라는 주제로 연구 의뢰를 받았다고 하니, 언젠가는 실현 가능한 일이 아닐까.

이 책에는 「붉은 행성의 방식」, 「김조안과 함께 하려면」, 「위대한 밥도둑」, 「행성봉쇄령」, 「행성 탈출 속도」, 「나의 사랑 레드벨트」의 제목을 가진 6편의 단편이 담겨있다. 「붉은 행성의 방식」은 화성 초기 정착 단계에서 일어난 첫 살인사건을 다룬다. 살인사건이라고 특별하게 스릴러 같다고 보이지만 그런 분야는 아니다. 초기 정착단계이기도 하고, 화성의 환경을 고려하면 살인자는 도망갈 곳도 없다. 나는 이 사건보다 다른 점에 눈이 갔다. 초기 정착 단계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여러가지 일을 병행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이야기에도 등장하지만, 화성으로 초기 이주한 사람들은 여러분야에 박사학위를 가진이들이다. 한개의 박사학위는 명함도 못 내밀판이다. 이동하는 시간이나 그런 예산을 미루어 볼때 임무들이 겹친다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희나는 이 점을 '화성의 회복력'이라고 말하는 것이 꽤 인상적이다. "무슨 일을 겪어도 화성인은 반드시 회복하거든요. 그래서 지금까지 살아남은 거예요. 사실 처음부터 그렇게 설계가 돼 있죠. 위성도 조종사도 필수 인력이나 핵심 장비도, 서로서로 임무가 포개져 있어요. 하나를 잃어도 다른 개체가 이어받도록. 애초에 그렇게 구성해서 화성으로 보내진 거예요.(p.43)" 사고로 희나의 빈자리가 있었지만, 그 자리는 다시 지요가 채우고 있었다. 그게 붉은 행성의 방식이었다. 그런데, 아마도 지요는 희나의 자리를 채워서 임무는 수행해 나가지만 지요의 마음 속에 생긴 희나의 빈자리는 채워지지 않을 것 같다. 그건 사람의 살아가는 방식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