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국에서의 일 년
이창래 지음, 강동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0월
평점 :
" 나는 사라지고 싶었다. 삶으로부터 사라지는 게 아니라, 삶 속으로 사라지고 싶었다"
20대 청년 틸러 바드먼. 그는 어디에 사는지 말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시작한다. 자신과 함께 사는 밸과 그녀의 아들 빅터 주니어가 차짓 위험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초반부에 순간 밸과 틸러는 '증인 보호 프로그램' 때문에 본래 삶에서 멀리 떨어져서 살고 있는 것인가라는 생각을 했다.(범죄 이야기를 너무 많이 본 것 같다.) 게다가 표지를 장식하고 있던 "삶 속으로 사라지고 싶었다"라는 말 때문에 확신을 가졌다. 담부터 확신은 좀....갖지 말아야겠다. 더더군다나 이 책은 초반에 확신을 가지기에는 꽤 벽돌책이다. 차분하게 읽어봐야 할 것 같다.
틸러는 한국인의 피가 아주 조금 섞인, 거의 백인과 구분되지 않는 혼혈인이다. 대기업 관리직인 아버지 덕에 부족했던 어린시절을 보내지 않았지만, 엄마의 부재로 인해서인지 아니면 너무나도 개인적인 아버지와의 관계 때문인지 괜히 겉도는 느낌을 지울수는 없었다. 그런 가운데 틸러는 중국계 미국인 사업가인 '퐁'을 만나 그와 함께 출장을 떠나게 된다. 그 앞에 어떤 고난이 있게 될지는 틸러는 알 수 없었다.
밸과 함께하는 현재와 타국에서 보낸 과거가 교차되면서 이야기는 전개된다. 많은 소설에서도 이렇게 시간을 넘나드는 플롯을 보여주는데, 왜 나는 작가가 독자와 적당히 밀당을 하고 있는고 느끼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작가의 원래 스타일이 그런건지는 처음 만난 이야기라서 잘은 모르겠지만, 어쩐지 그런 생각이 들었다.
평범했던 삶을 살았던 틸러에게 타국에서 일년은 낯선 경험이었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낯선 상황을 얼마나 만나게 될까. 그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성숙해 나가는 것일까. 나는 요즘 누구나 겪지만 그 시기가 조금 다른 그런 낯선 상황 속에 놓여져 있다. 이런 낯선 상황을 통해서 나는 한층 더 성숙해질 수 있을까. 낯선 경험이 우리를 많이 변화시키지는 않더라도 조금은 더 우리를 변모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