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년 후 학교 ㅣ 생각학교 클클문고
소향 외 지음 / 생각학교 / 2023년 8월
평점 :
100년 후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네명의 작가가 모여서 그 궁금증을 풀어준다. 사실, 지금 교권의 위상이 많이도 추락했다. 군사부일체라 해서 스승님의 그림자를 밟지 않았다고 했는데, 그림자는 아니더라도 선생님들은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날마다 들려오는 선생님들의 안타까운 소식은 허탈하게 만든다. 물론 가끔씩 스승님이라 부르기 뭣한 사람도 있지만(「우리 공존할 수 있을까?」 속 교장선생님), 하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은 「우리 공존할 수 있을까?」 속 손현구 선생님과 같지 않을까 싶다.
이 책 < 100년 후 학교 >는 「Schoolverse(소향)」, 「그레이븐 이종 고등학교의 괴짜들(정명섭)」, 「특별전형(이지현)」, 「우린 공존할 수 있을까?(윤자영)」의 네가지 이야기가 담긴 앤솔로지 작품이다. 이 작품들을 읽다보면 미래의 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결코 허황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아마도 선생님 작가분들로서 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나기 때문이 아닐까. 물론 정명섭 작가님은 교사는 아니지만, 글쓰기 수업이나 강연들을 통해 학생들은 가까운 곳에서 만나고 계신다. 가끔 청소년 소설을 읽다보면 과연 현실에서 가능할까라는 생각을 하곤했지만, 이 소설들은 SF 앤솔러지임에도 불구하고, 더 현실적인 것 같다.
특히,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우린 공존할 수 있을까?」다. 지구는 계속된 환경오염으로 인해 인간들이 살기 힘든 세상이 되었고, 새로운 행성에 정작하고 살아가게 된다. 이제는 세계적을 넘어 전 우주적으로 외계인과도 협력이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인간과 외계인간의 적대감으로 인해 우주인 합반 정책까지 생기면서 시범대상자로 소린이 뽑히게 되었다. 이 상황을 항의하러 교장선생님께 찾아갔다가 엄마에게 비밀을 들으라는 말만 들었다. 엄마에게 들은 비밀은 바로 소린이게 지구인과 외계인 사이에서 태어난 휴머린이라는 것이다. 외계인에 대한 인식도 별로였지만 휴머린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은 소린은 잘 헤쳐나갈 수 있을까.
사실, 꼭 100년후가 아니더라도 현재도 같은 지구인(?)이더라도 여러가지 이유로 공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지금은 서로 공존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