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 국내 최초 프로파일러의 연쇄살인 추적기
권일용.고나무 지음 / 알마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최초 프로파일러와 프로팔일링 팀의 탄생. 그 여정을 다룬 이야기라고나 할까. 이 책을 원작으로 드라마도 제작되었다고도 했고, 요런 분야에 관심도 많아서 읽게 되었다. 다음 세상에서는 나도 프로파일러가 함 되볼까라는 생각을 했다가 권일용님의 < 내가 살인자의 마음을 읽는 이유 >를 읽으며, 언감생심 내 주제에 무슨 프로파일러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만큼 '악의 마음을 읽는 것'이 쉽지가 않았다. 권일용 프로파일러는(지금은 퇴직하셨지만) 이런 프로파일링이 생소한 시기에 프로파일러로 활약을 하며 이를 자리잡게 한 인물이다. 항상 '그화(化)'가 중요하다며 범죄자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라며 프로파일러의 세계를 소개하고 있다.

예전 아주 유명했던 " 수사반장 "에서 최불암 배우님의 실제 모델이었던 형사 최중락씨는 "모든 살인 사건에는 피해자가 죽을 만한 이유가 있다. 이걸 찾으면 범인 잡는거다.(p.272)"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 시절에 범죄 동기가 뚜렸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야말로 "묻지마 범죄"라고 일컬어지듯 이유도 없이 행해지는 범죄가 많다. 이유없이 칼부림을 하고, 장난이라는 미명에 살인예고글을 올린다. 차라리 이런 범죄에 정말로 흉악범들이 희생을 당한다면 박수를 쳐줄수도 있을테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참으로 제 3자인 우리들을 마음아프게 할 정도로 착하게 산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요즘에는 이 프로파일링이 더욱더 중요해지는 것이 아니겠는가 싶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그저 프로파일러들이 그들의 마음을 읽어 범죄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어떤 근본적인 문제로 인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인가의 이유를 찾으며 범죄예방에도 힘쓰고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왜 똑같은 환경에서 누군가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능력을 상실한 괴물이 되고, 누군가는 정산인으로 남는가'(p.50)라는 의문의 답을 찾으려고 노력했었다고 한다. 꼭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아니더라도 요즘 세상에 공감능력을 상실해 가는 사회가 되고 있는 것 같다. 직장내 괴롭힘이나 학폭 가해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직접적으로 그들을 벼랑으로 밀어버리지 않았더라고 단초를 제공한 이들이 존재한다. 그들도 공감능력을 상실한 준괴물에 속하는 이들이 아닐까. 근본 이유를 알아만 낸다면 사회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도 싶다.

서구 사회에서는 연쇄 살인범들의 이른(?) 등장으로 프로파일링이라는 새로운 수사기법의 역사가 오래되었는데, 우리나라는 그 도입이 좀 늦은 편이었다고 한다. 프로파일러의 첫 등장한 2000대 초반만 하더라도 신뢰할 수 없다는 시선이 경찰내에서도 있었지만 이제는 더 이상 생소한 수사기법도 아니고 변화해가는 사회를 볼때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