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못을 대하는 아름다운 방식
유강 지음, 공서연 그림 / 아름다운사람들 / 2023년 8월
평점 :
이투아는 화살통을 만들 가죽이 갖고 싶었다. 하지만 아빠는 성인식을 치를 때까지 기다리라고 한다. 자격이 되려면 3년은 더 기다려야 한다. 이투아는 어렸을 때부터 사냥을 배웠기에 자신있는데 말이다. 꼭 정식 사냥꾼이 되면 여우를 잡고 말 것이다. 어느날 이투아는 덫에 걸린 여우를 발견했다. 그리고 덫에서 여우를 빼내었다. 그렇다. 이투아는 방금 여우를 훔친 것이다.
범인을 찾아내라며 이웃 마을에서 찾아왔고 이투아가 여우를 훔친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특별한 의식이 시작되었다. 잘못을 한 이투아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투아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마을사람들은 돌아가며 이야기 하는 것이었다.
아이들이 자랄때 잘못을 하게 되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 윽박지르면서 혼을 낼까? 아니면 조용히 타이를까. 이 책에 언급된 리베르 마을 사람들의 방식을 좀 의외였다. 자신을 되돌아 보게 함으로써 스스로 뉘우치도록 한다. 아이들은 이렇게 키워야지..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과연 요즘 아이들이 이렇게 대한다고 스스로의 잘못을 뉘우칠수 있을까라는 의문도 가져봤다. 육아프로그램으로 문제 행동이 나타나는 아이들을 보게되면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어떻게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을까, 과연 가능할까 의문이 들기도 한다. 사실, 내가 부모였다면, 나는 조용히 내쫓아 버리는 방법을 택할 것 같다. 하지만 다른 방면에서 생각해보면 키우는 양육자의 문제를 방관할 수는 없다. 그렇게 키워진 부모들이 또 그렇게 아이를 키우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닐까. 그러니까, 내 아이만 소중하다, 내 아이는 왕의 DNA를 가졌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말들을 하는 것이 아닐까. 절대로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세상에 왜 우리는 자꾸만 이기적이 되어만 가는 것일까. 우리는 아마도 이런 "잘못을 대하는 아름다운 방식"을 배워야 할 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