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서를 써야 작가가 되지
정명섭 지음 / 깊은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2020년에 출간되었는데, 띠지의 설명이 '100권의 책을 출간한 정명섭 작가"라고 하니 지금은 몇 권 정도가 되시려나...2020년에 < 저수지의 아이들 >이라는 책으로 처음 만났는데, 그 이후로도 제법 많은 책을 읽었다. 정말 작가님은 어디에 이런 수많은 이야기를 담고 계시나 모르겠다. 특히, 작년에는 < 우주전함 강감찬 > 북토크에 갔을 때 직접 뵈었는데, 입담도 너무 좋으시다. 게다가 다른 후배 작가들을 이끄시는 모습도 꽤 보기 좋았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보니 후배 작가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전해져 온다.

우리 나라 출판계는 단군 이래 최대 불황을 겪고 있다고 한다. 1인당 독서량도 급격히 줄어 들었고 - 우리 집도 내 독서량이 대부분이다 - 예전에도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서평단 활동으로 책을 지급 받을 수 있고, 나눔으로 책들도 돌고 돈다. 과연 이런 것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게다가 우리 동네는 도서관이 너무나 많아서 예전처럼 책을 구입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출판업계의 불황을 자초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 지망생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작가는 많은 책을 쓴 덕분에 책을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 계약서요. 그게 필요합니다"

그렇게.. 계약서가 모든 것의 시작이 아닌가. 작가가 되려면 우선 기본 글쓰는 능력은 좀 있을테고(나 같은 사람은 애초에 생각을 안 한다.) 책을 내려면 출판사와 계약을 맺어 출간하는데, 꼼꼼히 계약서를 써야 할테다. 그냥 순수한 독자라는 입장에서는 아무 생각이 없었는데, 출판업계에서 일하는 분을 알게되니, 수박 겉핥기 식이지만 나름의 출판과정을 조금 알게 되었는데.. 만만치 않더라. 그런데 계약서는 책을 낼 때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것에도 적용되는 내용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