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호 측 증인
고이즈미 기미코 지음, 권영주 옮김 / 검은숲 / 2011년 10월
평점 :
표지는 참 예쁜데, 도서관에서는 표지를 다 벗겨놔서...ㅜㅜ 이 책도 나온지 꽤 되었지만, < 변호 측 증인 >은 1963년에 처음 발표되고 46년만에 복간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간혹 오래전 배경인 이야기를 읽을 때 낯선 기분이 들기도 하지만 이 이야기는 60여년전 이야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이질감이 없다. 60년대에 씌여졌으니까, 당연히 배경도 그렇겠지...^^;;
스트립 댄서로 일하던 미미 로이. 재벌가의 방탕한 외아들과 사랑에 빠졌고, 결혼을 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재벌집에서 미미와 같은 며느리를 원하지는 않는다. 그들만의 세계에서는 연애로 결혼을 했다고 해도, 잘 짜여진 상황에서 만나고 보니 어느 집안이더라 하는게 기본 공식이 아니던가. 미미도 역시 인정받지 못했다. 하지만 방탕했던 아들이 자신과의 결혼으로 정신을 차린다면 한 식구로 받아들여지지 않겠나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미미는 임신을 했다. 남편은 기뻐했고, 이 사실을 알게되면 아버지도 자신들을 인정해주리라 믿었다. 하지만 시아버지는 살해되었고, 희망찬 미래는 날아가고 말았다.
초반에 시작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남편이 아버지를 살해했고, 사형선고를 받은 남편을 살리려는 미미의 노력인 줄 알았다. 항소를 통해 위기를 반전시키고자 노력하는 미미의 조용한 그날의 사건에 대한 서술이었다고 믿었는데, 후반부로 가면서 갑자기 이야기가 바뀌어 버렸다. 이게 뭐지 하면서 앞으로 돌아가 다시 읽었다. 무심결에 독자는 남편이 범인이고 그를 위해 거짓말이 오히려 그를 더 위험에 빠트렸다는 착각을 일으킨 것이다. 그래서 이 소설이 극찬을 받고 있는가보다.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진행과 독자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작가의 능력이 참 대단한거 같다. 아이참.. 이러면 또 이 작가에 대해서 찾아보게 될게 아닌가...(벌써 찾아봤다.)
다른 이들과 소통을 하지 않고 혼자서만 책을 읽었더라면 어쩌면 이 책은 만날 기회가 없었을런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을 만나서 다행이고, 작가의 다른 책을 또 읽을 생각에 벌써부터 신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