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4월
평점 :
이 소설은 꽤 간결한 것 같다. 100여페이지의 짧은 소설이지만 많은 것을 품고 있다. 소설 속 뉴스에서 흘러 나오는 "아일랜드 단식 투쟁"이라는 말로 1980년대 초반이 이야기의 배경임을 짐작하게 한다. 사실 책소개가 아니었으면 배경도, 시대도 알지 못했을 것이다. 다만, 좀 오래된 시절의 이야기랄까... 가만보면 화자인 여자아이의 이름도 언급이 없는것 같다. 그냥 지나쳐 온건지 모르겠지만...
가난했던 집에서 제대로 돌봄을 받지 못하고 지내던 아이는 엄마가 막내 동생을 출산하기 전까지 먼 친척인 킨셀라 부부의 집에 맡겨진다. 집에서와는 전혀 상반된 이 집에서는 무언가 그녀를 사랑스러운 존재로 부각시켜 주는 듯하다. 부부의 관심과 사랑이 낯설지만 소녀는 그속에 잘 녹아들어간다. 다만 좀 수다스러운 이웃집 아주머니 때문에 부부의 아픈 과거를 알게 되었지만 그래도 세사람은 더 견고하게 맺어지지 않았나 싶다.
엄마는 드디어 동생을 낳았고, 드디어는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돌아가기 전에 우물에 빠져 잠시 앓았던 소녀가 기침을 하자, 아빠는 아저씨에게 아이들 제대로 돌보지 못한다고 타박했다. 본인도 알지 않냐며 아저씨의 아픈 기억을 헤집어 놓는다. 이런 무례한 사람같으니라고...
이 소설을 원작으로 영화가 개봉된다고 했는데, 과연 영화속 결말은 어떻게 될까. 궁금하지만 보고싶지는 않다. 소설 속 결말이 아니라 다른 해석의 결론이라면 화가 날 것 같다. 친부모라고 해서 모든 이들이 아이들을 잘 보살피는 건 아니다. 차라리 소녀는 자신을 데려다 주고 떠나는 아저씨를 쫓아가 꼭 끌어안은채 그대로 킨셀라 부부의 집으로 갔으면 좋겠다. 그곳에서 사랑받으며 아이로서 당당한 보살핌을 받으면 살았으면 좋겠는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