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가, 나의 악마
조예 스테이지 지음, 이수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는 너무나 감정이입을 했었을까. 그냥 소설로만 읽는 것도 참 너무 힘든 이야기인 것만 같다. "낳지 말았어야 했던 내 소중한 악마"라는 말도 너무나도 충격적인데 말이다.

크론병을 앓고 있는 수제트. 엄마는 왜 수제트에게 손을 놓은 것일까. 방임이었을까. 인간관계도 힘들었던 수제트는 알렉스를 만난 건 행운이었다. 그를 만나고 가정을 꾸리고 딸 해나를 낳았다. 해나는 말이 느렸다. 7살이 되었어도 말을 내뱉지 않았다. 그렇다고 남의 말을 못 알아듣지는 않았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학교에서도 연이은 문제로 퇴학당했고 홈스쿨링을 결정했다. 온종일 수제트가 해나를 담당했다. 하지만 해나는 수제트에게 악마처럼 군다. 정말로 낳지 말아야 했을까. 알렉스에게는 세상에 둘도 없는 천사같은 딸이다. 그런 해나가 어느날 수제트에게 말을 해왔다. "왜냐하면 나는 해나가 아니니까."

해나는 아빠가 좋았다. 어른이 되면 아빠와 결혼할 테다. 하지만 엄마가 걸림돌이다. 엄마는 매번 아빠에게 주문을 거는 것 같다. 엄마는 없어져야 한다. 이 소설은 수제트와 해나의 시선을 오가며 이야기가 진행된다. 7살이라는 나이가 무색할 정도로 해나는 엄마에게 위해를 가하고 있다. 물론 그 방법이 아직 어린 해나이기에 한계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7살 어린이가 엄마를 없애기위해 망치를 들고, 불로 위협한다는 것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기 때문이다. 세상 모든 나쁜 아이들은 없다고, 그 아이들을 양육하는 어른들의 그릇된 방법 때문이라고 여겼지만 해나는 아무래도 그 범위에서 벗어나는 아이인 것 같다. 만약 내 아이가 나에게 이런 일을 벌인다면 망치를 두 손으로 꼭 쥐고 내 앞에 나타난다면, 이런 공포보다 더한 것이 있을까.

해나는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그 어딘가 쯤에 있는 듯 싶다. 과연 이를 치료할 수 있을까. 또한 이 아이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가족이라는 관계에서 빚어지는 비극들은 많다. 병원에서 가정폭력을 의심하는 의료진에게도 알렉스는 선뜻 아니라는 부정밖에 할 수 없었다. 수제트는 남편이 아니라 7살 딸아이가 자신을 해치려 했다고 말했지만 믿어주지 않았다. 누가 믿을 수 있겠는가. 결국에는 겉으로는 가면을 쓸 수 밖에 없었다. 그 가면을 벗는 순간 그들의 겪는 고뇌가 이해가 된다고 말은 너무 가식적일 것 같다. 그 고뇌는 당사자 아니면 이해할 수 없을 것 같다. 언제나 꽉 닫힌 결말을 좋아하지만 이 소설은 어떠한 결말을 낼 수가 없을 것 같다. 오히려 꽉 닫힌 결말이었다면 이 책을 집어던졌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