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곳에서 부르는 희망가 예서의시 23
김옥자 지음 / 예서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시는 참 어렵다. 어떠한 정보 없이, 온전히 마음으로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아직 참 힘들기는 하다. 그래도 여러편이 실린 시집에서 한 두편 공감을 한다면 성공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이렇게 자주 시를 대하다 보면 언젠가 나도 모르게 읇조리기도 하고, 강제적이지 않게 스스로 시를 찾아보게 되지 않을까 싶다.

내일의 여명이 밝아옴을 믿기에

더는 좌절하지 않으며

절망하지 않으리라

희망 빛을 향해

나는 오늘도 길을 간다

「 내일의 희망 中 」

이 시는 읽으면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뜬다'라는 대사가 생각났다. 요즘처럼 팍팍한 세상, 오늘 하루는 고단할지라도 내일이 되면 또 다른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어느 날 갑자기 연락을 받았다

아빠가 아빠가

돌아올 수 없는 곳으로 떠나셨다고

망치로 얻어맞은 듯 멍했다

「 어느 날 갑자기 中 」

아마도 시를 공감하려면, 어떤 문학적 소양보다는 자신의 현재 상태가 크게 좌우하는 것도 같다. '갑자기'는 아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당연하게 찾아오는 일이긴 하지만 머리속에서는 이해를 분명 하고 있는데, 인정이라는 것을 하기가 너무나도 힘이 든 것 같다.

시뿐만이 아니겠지만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면 그 느낌이 더 크게 다가오는 것 같다. 시는 조금 어렵긴 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멀리하고는 싶지 않다. 조금 더 많은 경험을 하게된다면 진정 마음으로 느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원래 작가 인터뷰나, 작가의 말, 작품해설들을 잘 읽지는 않지만 김옥자 시인은 '진행성 골화 섬유형성이상(FOP)'을 앓고 있다고 한다. "뼈의 감옥에 갇히지 않았더라면 첫 번째는 벗을 만나고 싶다. 인연이 닿아 벗이 된 지 곧 스무 해가 된다(p.135)"라는 글을 읽었을 때, 페이지를 돌려 찾아본 시가 바로 「 애틋한 인연 」이었다. 아마 이 시 속의 애틋한 인연이 시인의 벗인가 보다.

그리움에 파묻힌 채

목소리 한번 들을 수 없었지

전화가 생기고 보청기가 생겨

긴장 속에 설렘 가득 첫 통화

손꼽아 보니 만난지 열여덟 해건만

만난 길이 없어라

「 애틋한 인연 中 」

어찌되었든 이번 시집은 성공적이다. 평상시 시를 읽을 때는 무언가 건져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읽어 내려가는 듯 했지만, 이 시집은 인상깊은 두 시를 만났고, 인터뷰를 읽다 금방 시를 떠 올리지 않았는가. 갈수록 정적인 편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데, 읽는 분야도 어느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으려는 욕심이 생긴다. 이 시집을 다 읽고 난 후엔 '나도 이제 시를 좀 읽을 줄 아는구나'라는 희망이 조금은 생긴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