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체리새우 : 비밀글입니다 (30만 부 리커버 특별판) - 제9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문학동네 청소년 42
황영미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새학년^^ 설렘도 있지만 불안감도 있다. 나도 사실 낯을 가리는 성격이라 새학년이 도면 좀 힘들다. 짝부터 공략을 하고 넘어가야겠지만... 하... 이제사 생각하면... 참 누구한테 조언할 그런 입장은 못되었는데 말이다. 다현이도 그렇다. 은따가 되기도 하고 하지만 친구 설아 덕분에 다섯손가락 멤버이다. 아람, 병희, 미소, 설아, 그리고 다현. 이 무리는 어느 정도 아람이의 기분에 따라 좌우되는 것 같다. 그리고 다현이도 동등한 입장은 아니고, 소소한 잔심부름등을 한다. 더군다나 은따기도 했던 다현이는 소심해 보인다. 항상 친구들에게 거절당할까, 내가 뭘 잘 못했을까라는 것을 먼저 생각한다. 그러던 가운데 '다섯 손가락'이 선정한 "밉상" 2위인 노은유와 짝이 된 것이다. 은유와 말하는 것도, 한팀이 되어 수행평가하는 것도 눈치가 보인다.
예전에는 같은 눈높이로 봐서 몰랐었을까. 아니면 나는 은따여서 몰랐던 것일까. 왜 지금에서야 이런 모습들이 눈에 띄는 것일까. 무리를 짓는 것도 주도하는 아이의 기분을 맞출 필요도 없는데 말이다. 비단, 이것은 학생들만의 문제는 아닌것 같다. 성인이 된 후에도 자신이 꼭 주도를 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왜 사람들은 자신을 떠받쳐 주어야 하고, 시시껄렁한 농담을 귀한 시간 내주면서 들어줘야 하는지. 사실 말미에 나오는 아람이의 사정도 안쓰러운 마음은 들지만 그렇다고 이런 행동을 하는 것도 옳지는 않다. 꼭 나쁜 짓을 하면서 자신의 사정이 그 나쁜짓을 상쇄 시킬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다현이는 조금마나 더 자신감을 얻었으면 좋겠다. 충분히 매력있고, 친구들과도 잘 지낼 수 있는데, 너무나도 위축되어 있는 것 같다. 예전에 딸아이에게도 "반 아이들과 모두 다 친구가 될 필요는 없다'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몇년후에 "오은영 선생님이 그러는데, 우리 사회는 학교 다닐 때 만난 또래들을 무조건 친구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는데, 프랜드(friend)와 클래스메이트(classmate)를 구분해야 한다"라더라는 말을 했다. 유독 이 말은 요즘 세대에 더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다현이에게는... 자신과 맞는 아이들과 친구로 지내면 되지 굳이 밀려날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다섯손가락보다는 수행평가를 함께 했던 친구들이 더 어울려 보인다. '밀려날까' 걱정하는 관계는 수평적인 친구관계가 아닌 수직적인 관계가 될뿐이다. 이는 더이상 친구는 아니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