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부 김가희 - 세상을 갖고 싶었던 희대의 악녀
황천우 지음 / 밥북 / 2023년 2월
평점 :
김개시라는 역사적 인물을 처음 안 것은 예전 광해군을 다룬 드라마에서였다. 게다가 요즘에 읽는 < 조선왕조 500년 >이란 대하소설에 광해군 시대 말과 인조반정이 일어나는 시기여서 더 이 소설이 끌렸다. 어릴적에는 쫓겨난 왕이라는 것만으로도 폭정을 일삼던 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광해군에 대한 생각은 달라지긴 했다. 물론 어떤 평가를 내리기에는 내가 너무 아는 것은 없다 하겠지만, 광해군이 반정으로 밀려나게 된 이유 중에 김개시라는 인물도 한 몫 하지 않았나 싶다.
광해군도 좋은 환경에서 자라 왕이 되었다면 외교문제에 꽤 특출했기 때문에 당시 상황 판단을 잘하면서 성군이 되지 않았을까. 하지만 방계로서 왕이 되었던 선조의 컴플렉스로 인해 너무나 안쓰러웠던 세자시절을 보내고, 힘겹게 왕위에 올랐기에 모든 것을 포기하지 않았나 싶기도 한다. 물론, 역사에 잘 모르는 사견일 뿐이지만 말이다.
이 소설에서는 광해군을 중심으로 진행되지 않고 오로지 "김가희(김개시)" 중심으로 진행이 된다. 이이첨의 노비였던 개똥. 그녀는 꽤 명민했다. 그러한 점을 눈치 챈 것은 이첨이었다. 이첨은 개똥이에게 '김'이라는 성을 주었으며 '개시'라 이름을 주고 동궁전의 궁녀로 궁으로 들여보낸다.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개시는 선조의 눈에 띄며 '가희'라는 이름을 받게 된다. 영창대군은 아직은 어리지만 선조가 오래 살게 되면 성장하여 광해군을 충분히 위협할 수 있는 존재였다. 갑작스런 선조의 죽음과 영창대군의 죽음, 그리고 인목대비의 폐모 사건등 가희의 영향력은 대단했다. 광해군은 가희의 치마폭에 쌓여 있었고, 막대한 권력을 휘두르는 한편, 자신과 사실상 대립을 하고 있는 존재들에게도 그녀는 같은 편이라 여길 정도의 관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면 가희는 꽤 영악한 편이다.
하지만 늘상 그랬듯이 가희의 말로도 그다지 좋지 않다. 이 소설은 미천했던 가희가 어떻게 권력의 정점에 올랐는지, 그리고 어떻게 몰락했는지를 보여준다. 만약에 가희라는 인물이 자신의 명민함을 좋은 쪽으로 이용했다면 어땠을까. 역사에는 만약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을 알지만 늘상 과거에 이랬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과거는 바꿀 수 없지만 앞으로의 미래는 이런 일을 교훈삼아 충분히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