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없는 살인자 쿠르트 발란데르 경감
헨닝 만켈 지음, 박진세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북클럽 몽블랑 도서

초반 100페이지 정도는 참 빠르게 읽었는데, 물론 이야기가 재미 없다는 것은 아니고, 그 뒤부터 뭐 이리 신경쓸게 많은지 제대로 짬이 안나서 오래 끌면서 읽었던 같다. 북유럽 쪽의 소설은 어쩐지 내게는 낯설다. 어쩐 일인지는 몰라도 잘 적응하지 못했었다. 그나마 유럽쪽 소설에 조금 익숙해지고, 요네스뵈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믿고 거르는" 것 자체를 그만 두었다고 할까.

이 소설에 등장하는 형사는 쿠르트 발란데르이다. 우리나라에서 번역될 때는 제일 유명한게 먼저 소개되고 반응을 보고 차츰 차츰 번역되어 출간되는 데, 아마도 이 시리즈도 뒤죽박죽 출간되었던 것 같다. 늦게 알아서 좋은 점은 뒤죽박죽 인 것을 차례대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점은 첫번째, 두번째 소설은 소개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래서 이 책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첫번째 발란데르 형사 이야기일수도 있겠다.

사건 뿐 아니라 발란데르는 참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아내와는 이혼을 했고, 딸은 대화를 거부하고, 아버지는 자신을 무시한다. 새로 온 여검사와는 사귀는 것 같지만 그녀는 자신과 만나기 위해 이혼을 할 것 같지는 않다. 이 가운데 외딴 농가에서 살해된 노부부의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당시 남편은 사망했고, 중태에 빠졌던 부인은 '외국인'이라는 말을 남기고 결국 사망했다. 이런 사실들이 알려지면서 난민 에 대한 테러도 자행된다. 90년대 초반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소설은 괜히 시대적인 혼란을 가져왔다. 어쩐지 90년대가 아주 먼 옛날 처럼 낯설게 다가온다. 30여년전이긴 하지만 그 시대를 살아왔기에 괜히 너무 오래된 과거라는 것을 거부하고 있는 것만 같다. 호출기라든지, 개인 핸드폰이 대중적이지 않을 때 이야기라 그런지 뭔가 느림보처럼 이야기가 진행된다는 느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란데르는 결국엔 이 사건을 해결한다. 그렇게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연스레 실마리를 잡고서 급물살을 띠며 해결되는 모습이 어쩌면 더 현실적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현실에서도 오랜 시간이 걸릴지라도 그렇게 정의는 항상 우리앞에 마주서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